[칼럼] ADHD 치료에 대해서
"ADHD가 뭔가요?" 필자가 개원했을 당시에는 ADHD가 어떤 진단명인지 물어보는 부모와 보호자가 상당히 많았다. 10여 년이 지난 지금,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국민적 관심이 높은 정신과 진단명이 되었다. ADHD에 관심이 커진 것은 과학 기술 발달로 하루에 한 번만 복용해도 되는 서방정이 개발되면서부터다. 서방정은 혈중 약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약물 부작용을 줄이고, 약물 순응도를 더 높이는 데 기여했다. 여기에...
2018-06-09 08:30:00
아동 ADHD : 또 다른 치유법, 식이요법
대부분의 아동ADHD는 부모의 무관심과 잘못된 의사소통 등에서 비롯된다고 알고 있다. 물론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전적으로 원인이라고 말할 순 없다.식이용법 전문가이자 미네랄식이센터 고현아, 고동석 대표는 센터를 찾는 아이들 중 ADHD를 앓고 있는 아이들이 있었으며 그 아이들이 엄마 뱃속에 있을 태아시절부터 영양불균형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임신 중 고기만 먹거나 채식만 하는 등 불균형적인 식습관을 가진 경우 양수의 미네랄 불균형으로 세...
2017-09-15 10:37:09
아동 ADHD : 괜찮아,걱정하지마!
‘ADHD 검사는 어디서 해볼 수 있나요?’ ‘약물 치료만이 답일까요?’ ‘우리 아이가 ADHD면 어떻게 하죠?’ ‘ADHD가 궁금해서 강연에 가보려고 하는데요.’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의 블로그 또는 SNS를 보면 엄마들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근래에 아동 사건 사고가 자주 터지고 있으며 많은 ...
2017-09-07 11:55:58
아동기 학대 경험이 성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이어진다.
요즘 '초등학생 폭행 사건', '청소년 살인사건' 등을 보면 피해자는 물론이고 피의자가 모두 10대 아이들이다. 성인이 저지른 범죄라고 해도 끔찍하고 무서운 상황인데 이 사건의 어린 아이들이 피의자라는 사실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아이의 성장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 이를 뒷받침할만한 연구 결과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승환 교수 연구팀은 2015년부터 ...
2017-09-06 15:15:53
가정에서부터 시작되는 아이의 사회성
많은 엄마들이 ‘친구들과 친하고 사이좋게 지내는 것’이 사회성이라고 알고 있는데 이것은 사회성이 아니라 사교성이다. 사회성이란 속해 있는 사회에서 구성원과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즉, 공동체의 언어와 사고방식, 생활습관, 도덕적 규범들을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이 나의 행동이나 말을 이해하고 공감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능력은 하루 아침에 생기는 ...
2017-07-12 15:2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