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중산층 아닌데?" 한국 중산층 기준은?
소득 기준으로 따졌을 때 우리나라 중산층의 절반은 자신을 중산층이 아닌 하위층으로 인식한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NH 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는 22일 낸 '2022 중산층보고서'를 통해 올해 2~3월 중산층을 포함한 30~50대 성인 1천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정의한 중산층인 균등화 중위소득 75∼200% 사이 소득계층을 중산층 기준으로 적용했다.4인 가구 기준 올해 중위소득은 월 512만원이며, 중위소득 75∼200%에 해당하는 소득 범위는 월 385만∼1천20만원이다.중산층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5.6%가 자신이 하위층이라고 답했다. 이는 2020년 조사 때 응답 비율 40.5%보다 높은 수치로, 중간층의 계층 인식이 하향됐음을 의미한다고 연구소는 풀이했다.특히 30대(44%), 미혼(31.2%), 1인 가구(23.8%) 중산층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낮았다.이처럼 중산층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이상과 현실 사이에 괴리가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소는 해석했다.중산층 응답자는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686만원은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우리나라 가구 소득 상위 24% 수준이다.또 4인 가구 기준으로 중산층의 월 소비 규모는 한국 가국 상위 9.4% 수준인 427만원, 순자산은 상위 11% 수준인 9억4천만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소득(70.6%)기 중산층을 나누는 기준으로 가장 많이 꼽혔고 그 다음은 부동산(16.0%) 이었다.중산층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부동산 자산 규모는 8억4천만원으로, 실제 중산층 수준인 3억9천만원보다 4억5천만원 많았다.이 같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구소는 '한국형 중산층'이 중간 정도의 삶을 넘어 안정적
2022-09-22 11:51:44
한국인 기대 수명 증가...몇 세?
한국 국민의 기대 수명이 10년 전보다 3.3년 증가한 83.5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3년 더 긴 것으로, 회원국 중 상위권에 속한다.국민 1인당 외래 진료 횟수는 연간 14.7회로 나타나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반면 보건의료 인력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보건복지부는 이달 초 발표된 'OECD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2'을 토대로 우리나라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6일 공표했다.기대수명이란 해당연도에 출생한 사람이 앞으로 살 것으로 기대되는 연 수를 의미한다.통계에 따르면 한국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CED 국가 평균인 80.5년보다 3년 길고, 기대 수명이 가장 긴 일본(84.7%)과 비교하면 1.2년의 차이를 보였다.이는 10년 전에 비해 3.3년 증가한 수준이다. 또 전체 사망자 중 조기 검진과 적절한 치료 등으로 죽음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었던 사람의 비율인 '회피가능사망률'은 가장 최신 자료인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147.0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OECD 평균인 215.2명보다 낮다.국내 인구 10만명당 회피가능사망률은 2009년 237.0명, 2014년 185.0명, 2019년 147.0명으로 지난 10년간 연평균 5% 감소하는 긍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자살 사망률은 2019년 기준 인구 10만명 당 25.4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2009년 35.3명에서 10년새 약 10명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OECD 평균(11.1명)의 두배를 훌쩍 넘는 수준이다.영아 사망률은 2020년 출생아 1천명당 2.5명으로 평균(4.1명)보다 1.6명 낮았다.대표적인 건강 위험 요인인 흡연율과 주류 소비랑은 10년간 감소 추세를 나타냈으나, 과체중·비만 인구는 증가했다.2020년 국내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
2022-07-26 12:59:30
국내 유리천장지수 OECD 29개국 중 29위 '최하위'
노동시장 내 여성의 지위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영국 이코노미스트지의 '유리천장지수' 2021년 평가에서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중 29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와 관련하여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가 오는 30일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여성 고위관리자 70여 명과 ‘조직 내 성별 다양성 제고’를 주제로 ‘2021년 여성 고위관리자 원탁 토론회(콘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한다.우리나라의 경우 공공부문 여성 임원 비율이 20%를 넘고 상장법인의 여성 임원 비율도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지만 현장에서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 조직 구성원의 인식 전환과 이를 위한 여성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다. 성별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이를 조직의 성장 및 지속가능성과 직결되는 가치로 보고, 기업 투자와도 연계하는 추세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공부문의 성별 고용정보 공시 확대, 자본 2조 원 이상 기업 이사회의 성별 다양성 확보 제도 등 정책적 기반을 마련해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고 있는 상황이다. 정영애 여가부 장관은 "성별 다양성 확보는 조직의 혁신적 성장을 견인하는 힘이며 실질적 성평등 사회로 나아가는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며 "성평등한 조직문화가 정착되고 여성이 사회 각 영역에서 마음껏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여성가족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1-11-29 13:56:11
복지부, 저출산 대응 위해 OECD와 머리 맞댄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서울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와 공동 주최하는 2019 국제 인구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18년 11월 OECD 앙헬 구리아(Angel Gurría) 사무총장 방한 시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의 양자 면담에서 공동연구 및 교류활동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추진됐다. 또한 이번 행사는 2017년부터 보건복지부와 ...
2019-10-28 10:41:05
한국 여성 35%는 저임금…OECD 1위 '불명예' 여전
한국 여성 10명 중 4명 꼴인 35%는 저임금 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2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17년 한국의 저임금 여성 노동자 비율은 35.3%로 나타났다. OECD는 중위임금(전체 노동자의 임금을 한 줄로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의 3분의 2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저임금으로 판단한다.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2017년 통계가 있던 8개 국가 중 2위인 미국 29.07%보다 6%포인트 이상 높았다. 특히 OECD 평균은 20.01%로 한국보다 17.19%포인트 낮았다. 최하위권인 핀란드(9.63%), 이탈리아(9.07%), 벨기에(5.40%)는 한 자릿수였다. 우리나라 여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이 높은 것은 출산, 육아 때문에 경력이 단절된 여성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한편 남성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중위권 수준으로 2017년 14.3%로 OECD 8개국 중 5번째로 높았다. 2016년엔 15.3%로 24개국 중 9위였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19-02-25 10:5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