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힘 풀린 손, 혹시 뇌졸중? 알고 보니 ‘경추척수증’

입력 2011-11-18 15:00:48 수정 20111118150048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얼마 전부터 손이 저리고 힘이 풀리기 시작한 조씨(56).

손에 힘이 풀려 젓가락질이 힘들고 심지어 와이셔츠 단추 끼우는 것도 힘들어진 것을 느꼈다. 이 나이에 설마 뇌졸중? 이란 무서운 생각에 사로잡힌 조씨. 부랴부랴 병원을 찾은 그는 생전 처음 들어본 ‘경추부 척추성 척수증’(이하 경추척수증)진단을 받았다.

최근 20-30대 젊은 연령층에게 A형 간염의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다. A형 간염은 감기의 증상과 비슷해 젊은 혈기에 치료보다는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단 기간에 위험에 빠질 수 있다.

40대 이상의 중 장년층에게도 비슷한 증상에 혼동되어 더욱 위험해 질 수 있는 질환이 있으니, 바로 퇴행성 척추질환인 ‘경추부 척추성 척수증’(이하 경추척수증)이다.

손놀림이 어눌해지고 걸음걸이가 이상해지는 증상을 보여, 흔히 뇌졸중으로 오인해 제 때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하지만 경추척수증은 무엇보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사지 마비의 위험까지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목뼈 척수신경 눌려 발생하는 경추척수증, 퇴행성 변화가 주 원인

경추척수증의 정확한 질환명은 경추부 척추성 척수증이다. 목뼈(경추부)에서 척추뼈 안에 들어있는 척수(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목뼈의 퇴행성 변화 혹은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석회화가 되는 후종인대 골화증 등으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이 일반적인 원인이지만 심한 추간판 탈출증(허리디스크)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경추척수증이란 질환명은 생소하지만 환자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목 디스크가 원인이라면 20-30대에도 발병이 가능하지만, 보통 목뼈의 척추관 협착증에 의한 척수 압박증상으로 5-60대부터 고령의 노인들에게 많이 나타나며 40대 초반에 발병되기도 한다.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에게 많이 발병한다.

▲ 손에 힘 풀리고 걸음 걸이 이상해져… 중풍과 비슷한 증상에 오인 많아

척수는 뇌에서 뻗어 나와 목뼈 속을 지나 팔과 다리로 가지를 치는 충주신경으로, 이 척수가 눌릴 경우 팔과 다리가 저리고 힘이 빠지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시작되고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은 손놀림이 어눌해져 글쓰기나 단추를 끼우기, 젓가락질 같은 손의 세밀한 움직임이 안되고, 보행 시 균형이 안 잡히고 휘청거리며, 다리 근력이 약해져 보행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증상이 심해지면 목을 갑자기 움직일 때 팔과 등쪽으로 전기 충격을 받은 듯 찌릿한 통증이 발생하고 더 심하게는 방광 기능이 약해져 소변장애가 생기게 된다. 초기 증상이 뇌졸중과 비슷해 자칫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 바로 경추척수증이다.

이에 척추질환전문 서울척병원 홍준기원장은“경추척수증은 손동작이 어눌해지고 보행시 균형을 잡지 못하거나 휘청거려 뇌졸중과 유사하지만, 두통, 어지러움, 구음장애, 편마비 등 뇌기능 장애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며, “비슷한 증상인 뇌졸중으로 오인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 치료 시기를 놓치게 되면 하반신 마비 등 심각한 후유증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진단 포인트는 ‘손’ 확진 시 1년 이내에 수술 받는 것이 효과적

경수척수증을 진단하는 데에는 ‘손’이 중요한 열쇠가 된다. 초기 증상으로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빨리 하지 못하며 4,5번째 손가락이 저절로 벌어지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증상이 보인다면 전문적인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시급하다. 먼저 방사선 검사와 MRI 검사를 통해 척수의 눌린 부위와 그 원인 등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만약 경추척수증으로 확진이 됐다면 치료가 시급한데, 치료는 보존적인 비수술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목에 보조기 착용을 통한 운동제한,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복용 등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

하지만 경추척수증은 일단 증상이 생기면 보존적 치료 및 자연적 경과로 인해 호전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 결국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좁아진 척수강을 넓혀주는 방식을 사용한다.

좁아진 신경관으로 인해 압력을 받고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막혀 있는 부위를 열어주는 수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수술도 증상이 나타나면 가능한 조기에 해야 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

분당척병원 황상원원장은“경추척수증 증상을 앓게 되면 근육이 위축되고 관절이 굳어져 움직임이 제한적이고 약해져 경미한 부상에도 부러지기 쉽다”며 “때문에 수술 후에는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 등 물리치료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경추척수증을 예방하는 특별한 방법은 없지만, 평소 목뼈와 척추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나쁜 자세를 피하고, 목뼈에 충격이 가해지는 외상을 반복적으로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경닷컴 키즈맘 뉴스 이상화 기자 (lshstory@kmomnews.com)

[키즈맘뉴스 BEST]

· 백화점·대형마트 즉석판매식품에서 식중독균 검출
· 아시아의 프린스 장근석, 도쿄돔 4만 5천석 전석 매진
· ‘매서운 추위가 다가온다’ 온라인몰 월동 상품전
· ‘나도,꽃’ 윤시윤이 디자인한 핸드백! 어디서 봤더라?
· 연애 판타지 자극하는 공공장소 1위는 어디?

입력 2011-11-18 15:00:48 수정 20111118150048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