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성인의
10명 중
4명은 지난해 책을 한 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이하 문체부
)가 발표한
‘2017년 국민독서실태조사
’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일반도서
(교과서
, 학습참고서
, 수험서
, 잡지
, 만화를 제외한 종이책
)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은 성인
59.9%, 학생
91.7%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2015년에 비해 성인은
5.4%포인트
, 학생은
3.2%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종이책 독서량도 성인과 학생 모두 줄어든 것으로 보고됐다
. 2015년도에 비해 성인 평균 독서량은
0.8권 줄어든
8.3권이었으며
, 학생의 연평균 종이책 독서량
1.2권 줄어든
28.6권으로 나타났다.
반면
, 독서자만을 대상으로 하면 평균
13.8권으로 지난
2015년
14권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 이러한 결과는 전체 독서 인구는 줄었지만 독서자의 독서량은 꾸준한 것으로 해석된다.
평균 독서율과 종이책 도서량이 각각 줄어든 것에 반해, 연간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4.1%, 학생
29.8%로 성인과 학생 모두 증가했다.
종이책과 전자책 독서시간은
2015년 대비 성인은 평일
0.6분
, 주말
1.8분
증가한 수치인 평일
23.4분
, 주말
27.1분이며, 학생의 경우 평일
4.4분
, 주말
9.2분이 증가한 평일
49.4분
, 주말
68.1분이다.
평소 책 읽기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는 성인과 학생 모두
‘일
(학교
・학원
)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성인
32.2%, 학생
29.1%)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 이어, 성인은
‘휴대전화 이용
, 인터넷 게임을 하느라
’(19.6%), 다른 여가 활동으로 시간이 없어서
(15.7%) 순으로 나타났다
. 학생은
‘책 읽기가 싫고 습관이 들지 않아서
’(21.1%), ‘휴대전화
, 인터넷
, 게임 하느라 시간이 없어서
’(18.5%) 순이 뒤를 이었다.
본인의 독서량이
‘부족하다
’는 의견은 성인
59.6%, 학생
51.5%로 과반수였다
. 하지만 본인의 독서량이
‘부족하다
’는 성인이
2011년
74.5%에서
2013년
67.0%, 2015년
64.9%, 2017년
59.6%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 독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독서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2018 책의 해
’와 연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3월 책의 해 선포식
, 4월 세계 책의 날
, 6월 서울국제도서전
, 9월 대한민국 독서대전
, 10월 전국도서관 대회
, 11월 서점의 날 등을 잇달아 진행하고
, 영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아우르는 생애주기별 독서프로그램과 풀뿌리 독서동아리 활동
, 인문학 강의 등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을 연중 개최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지역과 일상에서 책 읽는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제
3차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
(2019~2023)에 독서인구 확대 방안을 담을 예정이다
”고 밝혔다
. 사진:한경DB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입력 2018-02-05 10:19:42
수정 2018-02-05 10:19:42
#국민독서실태
,
#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