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별 뉴스

근육 많을수록 당뇨병 발생↓

근육량이 많을수록 당뇨병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은 정형외과 박재형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6년~2018년 사이에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37만2399명의 체내 근육량을 통해 골격근지수(SMI)를 측정했다. 연구팀은 ▲근육 적은 그룹 (SMI ≤ 28.32) ▲ 근육 보통 그룹 (28.32 < SMI ≤ 30.76) ▲근육 많은 그룹 (30.76 < SMI ≤ 33.01) ▲근육 아주 많은 그룹 (SMI > 33.01) 등 네 그룹으로 나누고, 이들의 근육량과 당뇨병 발병률의 상관관계를 비교했다. 그 결과, 근육이 많을수록 당뇨병 발병률, 당화혈색소, 인슐린 저항성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근육의 양이 증가하는 것에 대한 당뇨 관련 인자들의 감소 폭은 나이가 50세 이상일수록, 남성일수록, BMI 수치가 25㎏/㎡ 이상일수록 더욱 커졌다. 박재형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근육의 양이 늘어난다는 단독적인 원인으로 당뇨병의 발병률, 당화혈색소,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노령인구의 근감소증 예방이 당뇨 및 대사 증후군의 발병률 감소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면서 "평소 꾸준한 운동을 통해 근력 감소를 막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당뇨/대사성 질환 연구 분야 국제학술지' 10월호에 게재됐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티빙-웨이브 합병 추진...넷플 위협하나

국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을 추진한다. 성공할 경우 국내 최대 규모의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로 재탄생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티빙 모회사 CJ ENM과 웨이브 모회사 SK스퀘어는 이르면 이번주 중으로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MOU 체결은 늦어도 다음주 초를 넘기지 않을 방침이다. 합병 기업의 1대 주주는 CJ ENM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실사 작업을 거쳐 내년 중 본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말까지는 합병을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양측은 합병을 포함한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인 것은 맞지만 MOU 체결과 합병 여부는 아직 확정된 단계까지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CJ ENM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OTT 사업자로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략적 제휴를 포함한 다양한 관점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했고, SK스퀘어 측도 "사업자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확정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순조롭게 협상이 이뤄질 경우 합병 기업은 국내 1위 OTT 사업자로 독보적인 존재감을 얻게 된다. 티빙의 월 활성이용자(MAU) 수는 510만 명, 웨이브는 423만 명이다. 따라서 합병이 성사되면 기업의 이용자 수는 900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중복 가입자를 제외하더라도 토종 OTT 1위인 쿠팡플레이(527만 명)를 넘어서는 것은 물론, 전체 OTT 1위 넷플릭스(1천137만 명)도 바짝 따라잡을 수 있을 전망이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모바일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