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위험 '뚝' 떨어뜨리는 '이 물건' 정체는? "주 1회만 써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치실을 사용하면 잇몸 건강은 물론 뇌·심장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지난달 30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1987년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 경화증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를 분석한 결과, 치실을 사용하는 습관이 뇌졸중·심방세동 위험을 각각 44%, 12%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연구진은 해당 연구에서 치실 사용 여부와 빈도가 심혈관 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6200명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참가자의 65%가량은 치실을 사용했다.2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치실 사용자는 치실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심장 색전성 뇌졸중 위험이 44%, 허혈성 뇌졸중(뇌경색) 위험이 22%, 심방세동 위험은 12% 낮았다.연구팀은 "일주일에 한 번 치실을 사용하면 뇌졸중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실을 더 자주 사용할수록 뇌졸중 위험이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연구 책임자인 수빅 센 박사는 "치실을 쓰면 음식물 입자가 치아 사이에 남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박테리아 축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돼 뇌졸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면서 "치실 사용과 규칙적인 운동, 좋은 식단 등 건강한 습관을 통해 이런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오는 5일(현지시각) '국제 뇌졸중 컨퍼런스 2025'(International Stroke Conference)에서 발표된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2-03 13:47:29
아이 입 냄새, '이것'일 수 있다
아이의 입에서 나는 냄새는 무엇을 의미할까? 보통 유아기 어린이는 입냄새가 잘 나지 않지만, 성인과 마찬가지로 아이도 아침 입냄새가 난다. 하지만 이런 냄새가 낮에도 지속된다면 여러가지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다.1. 충치충치 자체는 냄새를 유발하지 않지만, 아이의 치아에 거칠어진 곳이나 파인 곳에 음식물 찌꺼기가 잘 끼어 냄새가 나기도 한다. 즉 충치가 생기면 그 틈새를 잘 메워주어 음식물이 더 이상 끼지 않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밖에도 구강 위생을 철저히 하지 않아 생기는 치은염, 치석 등도 어린이 입냄새의 원인일 수 있다.2. 음식물 찌꺼기음식물은 치아의 틈새 뿐만 아니라 잇몸, 혀, 편도선 주변에까지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런 숨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아이가 자주 물을 마셔 입 안을 자연스레 헹구도록 하고, 과일 등 당분이 적은 간식을 주어 침 분비를 촉진시켜주어야 한다.3. 설태아이의 설태가 짙고 두터우면 냄새가 나기 쉽다. 이때는 입안을 꼼꼼하게 닦고 설태를 제거해주면 냄새가 사라진다. 하지만 닦아주어도 계속해서 설태가 낀다면 소화 기능이나 다른 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4. 호흡기 질환호흡기 질환은 어린이 입냄새의 주요 원인이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인후부가 길고 좁으며 연골도 약하기 때문에 감기 등으로 인한 호흡기 염증이 이물질에 의해 막힐 가능성이 있다. 또 알레르기성 만성 천식, 폐렴, 결핵 등도 입냄새의 근본적 요인이 될 수 있다.5. 편도결석감기가 악화하면 편도선염이 될 수 있다. 편도선염은 편도결석의 원인이 되는데, 음식물 찌꺼기 등이 편도의 작은 구멍에 쌓이면서 세균이 침투하고 쌀알 크기의 노란 결석 알갱이가 만들어
2022-07-08 17:11:08
식약처 "구강용 '벤조카인' 제제 24개월 미만 영아 사용 금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지난 28일 24개월 미만 영아에게 구강 국소마취 등에 사용하는 ‘벤조카인’ 함유 제재를 써서는 안 된다는 내용을 담은 안전성 서한을 배포한다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해당 제품을 사용할 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메트헤모글로빈혈증’(methemoglbinemia)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24개월 미만의 영아에게 사용하지 않도록...
2018-05-29 14:2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