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얼었던 땅 녹으며 '이것' 깨어나면 무슨 일이?
기후변화로 인해 얼었던 땅속에 있던 병원균이 깨어나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극지연구소 김덕규·김민철·이영미 박사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동토에 잠들어 있는 병원균을 깨울지 그리고 깨어난 병원균들이 병원성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모사 실험을 진행했다.연구팀은 알래스카 북서부 수어드 반도 카운실 지역에서 채집한 토양을 실험실로 옮긴 뒤 동토를 녹이는 환경을 조성하고 90일간 세균 변화 등을 관찰했다.동결 여부를 기준으로 위에서부터 녹아 있는 활동층, 얼었다가 녹는 전이층, 녹지 않은 영구동결층으로 구분했는데, 전이층과 영구동결층에서 세균의 개체 수가 증가했고 군집 구조도 바뀌었다.특히 동토층에 묻혀 있던 세균 슈도모나스 속의 균주들은 감자 무름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 슈도모나스 속 균주들은 저온에서 개체 수가 적고 휴면상태라 감염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동토가 녹는 환경에서는 식물 병원성 계통의 개체가 부활하면서 감염성을 띠고 개체 수도 증가했다.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 '온난화로 인한 극지 서식환경 변화와 생물 적응진화'와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에 의한 북극 동토 생태계 생지화학적 변화 이해' 연구 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독성학과 환경안전 분야 저명 학술지에 지난달 게재됐다.신형철 극지연구소장은 "북극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깨어날 미생물은 분명 걱정거리이지만, 그 위험성은 아직 과학적으로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면서 "잠재적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북극 현장과 실험실에서 식물 병원균의 휴면과 활성을 지속해서 추적하겠다"고 말했다
2025-02-04 10:02:56
빙하 녹으며 2050년엔 해수면 약 4㎝ 상승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서 2050년 지구의 평균 해수면이 약 3.6㎝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인천은 지구 평균보다 10% 높은 약 4㎝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뉴욕과 시드니 등 5개 주요 해안 도시 가운데 가장 높다.극지연구소 이원상 박사 연구팀은 1992년 이후 인공위성으로 관측한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해수면 변화를 예측했다.지난 30년간 빙하는 꾸준히 줄었는데 사라진 빙하는 대부분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을 높였다. 연구팀은 빙하 감소 양상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고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해 미래의 빙하 손실량을 계산하고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2050년에 지구 해수면은 평균 약 3.6㎝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해수면 상승에 기여한 정도는 그린란드 빙하가 남극의 1.5배 수준이었다.이번 연구는 여러 기후 변수를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미래를 예측하던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접근이었으며, 국내 연구팀이 극지방 빙하 감소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지역적으로 정밀 예측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극지연구소는 설명했다.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 '급격한 남극 빙상 용융에 따른 근미래 전지구 해수면 상승 예측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지난달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회보에 게재됐다.김병훈 극지연구소 연수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극지방의 빙하 손실만을 고려해 예측한 '최소한의' 해수면 상승치"라면서 "향후 1.5도 이내의 온도 상승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 실제로는 더 심각한 해수면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원상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장은 &q
2024-01-03 15: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