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치솟는 금값, 대체 왜?...전문가도 '아이러니'
금값이 3월 초부터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조차 정확한 원인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왜 하필 지금인지,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답이 쉽게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블룸버그통신은 7일 최근 벌어지고 있는 금값 급등 현상을 전문가들조차 명쾌하게 해석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통상 금값은 금리가 하락하면 오르는 경향을 보인다. 올해 말 세계적으로 금리가 인하하면 금값도 올라갈 것으로 내다보는 투자자, 전문가들이 많았다. 특히 세게 경제전망이 어두운 현재 상황을 감안하면 금 가격 급등은 설명하기 쉬울지도 모른다.하지만 자세한 급등 추세를 보면 답을 내기가 어렵다.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온 금시세가 3월 초부터 급등세를 띄기 시작해 지금까지 14%나 올랐다.지정학적 불안감이 금값 상승의 원인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경우 몇 년 전부터 진행 중이었고, 그 밖의 지정학적 긴장도 이전부터 지속돼왔기 때문이다.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전망은 한 달 전에 비해 지금이 훨씬 불투명한 상태다.각국의 중앙은행이나 대형 금융기관, 트레이더들이 금을 많이 매입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을 쉽게 내놓을 수 있지만 충분한 답은 되지 않는다.이 중에서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금 보유량을 늘렸기 때문이라는 가설이 나온다. 실제로 인민은행의 금 보유고는 지난달 7천274만 트로이온스로 늘었다. 하지만 인민은행의 금 보유 확대는 17개월째 이어지고 있어, 최근 급등기를 설명하기엔 무리가 있다.인도 중앙은행도 9개월째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각국 중앙은행이 시장에
2024-04-08 16:04:14
가온그룹, 'AI 서비스 로봇 공급' 소식에 주가 급등
가온그룹의 주가가 4일만에 반등했다. 자회사 케이퓨터테크가 KT에 'AI 서비스 로봇'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다.26일 오후 1시 31분 기준 가온그룹은 전일 대비 1680원(29.89%) 급등한 7300원에 거래되고 있다.이날 가온그룹은 자회사 케이퓨처테크가 KT와 인공지능(AI) 실내 배송 로봇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케이퓨처테크는 AI 솔루션을 탑재한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을 공급할 계획이다.가온그룹 관계자는 “지난해 말 KT 서비스 로봇 개발 과제를 완수한 데 이어 로봇 전문 인력 확대와 핵심 기술력 확보로 본격적인 사업화에 성공했다”며 “앞으로도 기업 가치 제고를 경영 최우선 순위로 두고 주요 신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9-26 13:34:07
이번엔 '금배추'일까…가격 2배로 뛴 월동배추
지난해 말 재고가 넘쳐 공급이 수월했던 월동배추의 가격이 두 달 사이 3배 가까이 올랐다.1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자료 '2021년 월동배추 유통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월동배추 도매가격은 10kg당 1만347월으로 지난 1월 5천972원 대비 73.3% 상승했다. 같은 시기 10kg 경매 낙찰가(경락가격)은 4천784원에서 9천326원으로 올라 94.9%의 상승세를 보였다.지난 1월 월동배추는 지난해 같은 달(10만447원)과 비교했을 때 57.2%에 그쳤지만 2월 85.9%까지 가격이 올라왔고 3월에는 107.4%로 비난해보다 가격이 많이 올랐다.배추 소매가격도 경락가격과 도매가격의 상승에 따라 자연스러운 오름세를 보였다.지난해 말에 일어난 공급 과잉과 소비 위축이 배춧값을 하락시킬 것이라 예상했지만 반전이 일어났다당시 정부는 배추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공급 과잉 물량을 시장격리한 바 있다.지난 1∼2월 월동배추의 전국 도매시장 반입량은 지난해 대비 12.1% 감소한 2만37t을 기록했다.aT는 "1월 한파 피해가 발생하면서 품위가 떨어져 1월 평균 가격이 지난해보다 하락했으나 한파 이후 출하량이 줄어 2월은 전월 대비 상승했고, 또 상품성 좋은 배추가 저장 물량으로 입고됨에 따라 시장 반입량이 줄어 3월에도 (전월 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aT는 다만 "배추 수요가 적어 추후 상승 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1-05-17 10:56:15
배추·무 가격 하락세… 정부 "성수품 모니터링 지속할 것"
추석을 앞두고 가격이 급등했던 배추·무의 소매가가 9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는 7일 배추 가격은 1포기당 6807원으로 지난달 28일 정점을 찍었던 8311원보다 1504원(18.1%) 하락했다고 밝혔다.지난달 27일 개당 4047원이었던 무는 394원(9.7%) 하락한 3653원을 기록했다. 정부는 추석 민생안정대책에 따른 비축물량 방출 확대, 반값 공급, 기상여건 호전 등으로 수급 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했다.하지만 배추·무 가격은 지난해 같은 시기 각각 4681원과 2062원이었던 것에 비하면 2126원(45.4%)과 1591원(77.2%)이 더 높다. 정부는 기상여건이 크게 악화하지 않는 한 배추·무 가격은 당분간 하향 안정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기재부 관계자는 "추석 성수품의 수급·가격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필요하면 추가 수급안정대책도 검토·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김지현 키즈맘 기자 jihy@kizmom.com
2018-09-08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