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특허'서 한국 43%로 1위…2위는 일본 20%
세계 탈모 화장품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특허출원 비중이 다른 국가들보다 크게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특허청에 따르면 2002년부터 재작년까지 최근 22년간 선진 5개 특허청(한국·미국·중국·유럽·일본)의 탈모 화장품 특허를 분석한 결과, 한국이 42.9%(576건)로 1위였다. 이어 일본 20.2%(272건), 미국 17.2%(231건), 중국 8.9%(119건), 유럽 7.7%(104건)였다. 탈모 화장품은 두피와 모발에 주로 사용되는 기능성 화장품으로, 혈액순환 개선과 호르몬 조절 등을 통해 탈모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이 화장품의 유효성분은 유형에 따라 천연물, 바이오 물질, 합성 물질로 구분한다.탈모 화장품 특허 출원을 성분 유형별로 살펴보면 천연물과 바이오 물질 분야에선 한국 점유율이 각각 50.0%(241건), 56.4%(216건)로 1위였다. 합성 물질 분야는 미국 32.6%(156건), 한국 24.8%(119건), 일본 21.5%(103건) 순이었다.주요 출원인을 보면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인 케어젠이 1위(115건), 화장품 전문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이 2위(72건), LG생활건강이 4위(25건)였다. 성분 유형별로는 아모레퍼시픽이 천연물 분야 1위(40건), 케어젠이 바이오 물질 분야 1위(115건)를 차지했다.임영희 화학생명심사국장은 "이번 특허 분석을 통해 탈모 화장품 시장이 우리나라가 기술적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블루오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우리 기업이 세계 탈모 화장품 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도록 특허 분석 결과를 산업계와 공유하고 화장품 산업이 지식재산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소통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17 09:11:05
"탈모 관심 많네" 기능성 화장품 심사 4배 급증
탈모를 개선하는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하여 정부 심사 건수가 급증했다.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의 '2023년 기능성 화장품 심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탈모 증상 완화 기능성 화장품 심사 건수는 131건이었다. 이는 2022년 63건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었다. 지난 2021년 28건과 비교하면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식약처는 사회적으로 탈모에 관한 관심이 늘면서 관련 기능성화장품 심사 신청이 활발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탈모 증상 완화에 관해 새로운 주성분을 사용했다고 신청한 건도 5건이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신규 주성분 심사 대상 12건 가운데 탈모 관련한 신청 건이 가장 많았다. 피부 가장 바깥쪽 각질층 표피인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해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도 2021년 3건, 2022년 9건, 2023년 23건으로 개발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한편, 지난해 전체 기능성 화장품 심사 건수는 943건으로 집계됐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2-07 10:55:06
아로셀, 기초 9종 유럽 화장품 인증 취득…해외 진출 본격화
바이오 뷰티 브랜드 아로셀(AROCELL)이 해외 시장 진출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1일 아로셀은 회사의 주력 제품 9종이 유럽의 화장품 인증인 ‘CPNP(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에 아로셀이 CPNP 인증을 받은 제품은 ▲슈퍼파워마스크 ▲슈퍼파워크림 ▲링클솔루션아이크림 ▲슈퍼파워앰플 ▲슈퍼넥크림 ▲보툴케어 립마스크 ▲머그워트휩클렌저 ▲앰플패드 등 총 9개 제품이다. 아로셀은 바이오 성분 화장품을 전개하고 있는 안티에이징 전문 뷰티 브랜드다. 저분자 콜라겐과 제대혈 세포 배양액, 피부 투과형 보툴리눔 펩타이드 등 첨단 바이오 성분을 소재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등에 수출 중인 글로벌 뷰티 브랜드로 가파른 성장을 거듭 중이다.이번에 아로셀이 인증을 취득한 CPNP는 유럽의회와 유럽 화장품 협회에 의해 설립된 유럽연합의 화장품 온라인 등록 포털 사이트다. 이는 2009년 1223/2009/EC 유럽 화장품 규정이 채택된 이후, 2013년부터 시행 중인 제도로, EU에 유통되는 모든 화장품은 CPNP의 인증 및 등록 절차를 통과해야 한다. CPNP에 등록된 화장품은 전 성분 물질 검토, 안전성 테스트, RP선정, 라벨제작, PIF 등록의 절차를 모두 통과한 제품이다. 특히 성분 검사는 제품에 함유된 각각의 성분 하나하나에 대하여 검토해야 하며, 6개월 이상의 미생물 검사와 제형 및 전 성분 안전성 테스트 등 엄격하고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전성분표에는 INCI명, CAS번호, 기능 및 함량(함량비)가 반드시 기재되어 있어야 한다. INCI(International Nomenclature Cometic Ingredient)는 국제 화장품 성분명을 뜻한다. 아
2024-01-11 16:3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