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연평어장 '이것' 어획량 작년의 1/10 수준
서해 연평어장의 올해 4월 꽃게 어획량이 급감했다. 8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지난달 연평어장 꽃게 어획량은 7807㎏으로 지난해 같은 달 7만4154㎏보다 89.5% 급감했다.봄어기(4∼6월) 꽃게잡이철 첫 달 어획량이 1만㎏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20년(6119㎏) 이후 5년 만이다.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꽃게 어획량이 급감한 주요 원인으로 낮은 수온을 꼽았다. 연평어장 수온은 지난달 8∼11.9도를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8.6∼12.6도)보다 대체로 1도 안팎 낮았다.이수정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연구사는 "꽃게는 3월이면 월동을 마치고 4월에는 서해 연안으로 넘어오는데 수온이 낮아 이동이 지연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지난해 가을어기 어획량이 크게 줄었던 부분과 적은 강수량도 어획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이에 어민들은 금어기를 현실에 맞게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평어장은 산란기 꽃게 보호를 위해 봄어기(4∼6월)와 가을어기(9∼11월)에만 조업이 허용된다.앞서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주민들의 요구로 백령·대청·소청도 어장의 꽃게 포획채취 금지 기간을 기존보다 15일 늦춰 7월 16일부터 9월 15일까지로 조정한 바 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5-08 12:04:54
봄엔 만선이었는데…급감한 가을 꽃게, 이유가?
올해 가을 꽃게 어획량이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3일 인천시 옹진군에 따르면 올해 봄 어기(4∼6월)와 가을 어기(9∼11월)에 잡힌 꽃게 어획량은 93만1000㎏이었다. 이는 최근 5년(2020∼2024년)간 가장 적게 잡힌 것이다. 연도별 꽃게 어획량은 2020년 102만4000㎏, 2021년 142만4000㎏, 2022년 112만8000㎏, 2023년 175만8000㎏이다.지난해와 비교하면 올해 꽃게 어획량은 47.1% 감소했다.특히 올해 봄 꽃게 어획량은 62만2000㎏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어획량인 42만5000㎏보다 46.4% 증가해 꽃게 풍년이 예상됐으나 가을 어획량이 큰 폭으로 줄면서 올해 전체 어획량이 감소했다.올해 가을 꽃게 어획량은 30만8000㎏으로 지난해 133만3000㎏보다 70% 넘게 줄었다. 지난달에는 3만7000㎏의 꽃게가 잡혀 지난해 11월(40만4000㎏)의 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가을 꽃게 어획량이 급감한 원인은 올여름 서해 연안 수온이 이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연평 연안 수온은 지난 8월 최고 29.6도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 최고 수온 27도보다 2.6도 높았다.이수정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연구사는 "올해는 황해저층냉수가 연안으로 깊게 유입되지 않았고 고수온 현상이 이어졌다"며 "전반적으로 서해 수온이 높아지면서 꽃게 어장이 넓어졌다"고 말했다.이어 "봄에는 판매가 가능한 작은 크기의 꽃게들이 많이 잡혀 어획량이 평년보다 많았다"면서도 "반대로 가을에는 상대적으로 개체 수가 적은 큰 꽃게만 주로 잡힌 부분도 어획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03 09: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