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도 이해 못 하는 2030, 원인은 '이것' 사용 때문일 수도?
통화나 음악 감상 시 주변 소음을 없애주는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젊은 층의 청력과 뇌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 BBC 방송이 최근 보도했다.17일(현지시간) BBC는 소피라는 25세 여성의 사연을 소개했다. 그는 영국의 한적한 시골 마을에서 자랐지만, 몇 년 전 런던으로 옮겨와 대학에 다니기 시작하면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멍하게 있는다' 등의 지적을 받았다.그는 "소리가 나는 건 들을 수 있지만 어디서 나는지 알기 어렵고, 사람 목소리인 건 알겠는데 그 목소리를 빠르게 해석할 수 없다"며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도 어렵고, 일상생활에서도 대부분의 소리가 소음으로 느껴졌다"고 털어놨다.청력 검사 결과 소피는 '정상' 범주에 속했으나, 추가 검사를 진행한 결과 뇌가 소리와 말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검사를 진행한 전문가는 평소 사용하던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APD 유발 원인으로 지목했다. 소피는 하루에 최대 5시간 노이즈캔슬링 헤드폰을 이용했다.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 소피 같은 APD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이즈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헤드폰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노이즈캔슬링은 기기에서 주변 소리를 차단하는데, 이는 고주파나 큰 소리가 귀를 손상시키지 못하게 방지할 수 있어 청력을 보호한다는 장점으로 여겨져 왔다.하지만 이 기능은 길에서 자동차 등 주변 소리를 듣지 못하게 해 야외에서 위험을 알아차리기 어렵고,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일을 잊게 만들어 판단력을 떨어뜨릴 수
2025-02-19 13:3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