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먹는 것도 서러운데..." 노인 40%는 '빈곤층', 女가 훨씬 더 심각
2023년 기준 한국 노인(65세 이상) 10명 중 4명은 빈곤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2년 연속 조금씩 악화하는 추세다.3일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가처분소득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노인빈곤율)은 38.2%였다. 이는 전년 대비 0.1%P 높아진 수치다.가처분소득은 개인소득에서 세금 등을 빼고 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을 보탠 것으로, 자유롭게 소비하거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노인 가운데 소득 수준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인 사람의 비율로 빈곤층 규모를 나타낸다.이를 기준으로 계산한 2023년 빈곤선은 약 1879만원으로, 65세 이상 노인 40%는 매년 1879만원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이 중에서도 여성(43.2%) 노인이 남성(31.8%) 노인보다 훨씬 더 빈곤했다. 이런 노인빈곤율은 우리나라 전체 상대적 빈곤율(14.9%)이나 근로연령인구(18~65세)의 상대적 빈곤율 9.8%(남성 9.7%, 여성 10.0%)보다 눈에 띄게 높다.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13년 46.3%에서 매년 조금씩 감소해 2020년 38.9%를 기록했지만, 2022년부터 다시 0.5%P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후 2023년에는 0.1%P 증가해 2년 연속 악화했다.특히 노인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소득 빈곤율은 더 올라갔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이지만,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이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2-04 13:4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