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뇌졸중 증가…위험 요소 관리 철저히 해야
국내 사망원인 4위에 해당하는 뇌졸중은 나이가 들면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환경적 변화로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져 성인이라면 주의가 필요하다.박정훈 인천힘찬종합병원 신경과 센터장은 "뇌졸중의 원인은 뇌혈관의 동맥경화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은 뇌졸중의 3대 위험인자다"라며 "고혈압이 있을 때 약을 먹으면서 혈압을 꾸준히 잘 관리하는 분들이 있어 뇌출혈보다는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인구가 늘어나 혈관이 막히는 경우가 더 많다"라고 설명했다.뇌졸중은 크게 뇌혈관이 막히면서 나타나는 뇌경색과 터지면서 생기는 뇌출혈로 구분된다. 증상은 유사하지만 뇌경색은 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는 동맥경화나 혈관 안에 혈전이 돌아다니다가 혈관을 막는 색전증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출혈은 뇌로 가는 혈관이 약해지면서 혈관이 터져 출혈이 생긴다.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 혈액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1분에 200만 개의 뇌세포가 손상돼 후유증이 크다.젊은 층에서 맵고 짜고 단 자극적인 음식을 즐겨 먹는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이른 나이에 만성질환이 생기고 뇌졸중의 발병률도 높아질 수 있다. 흡연과 과음도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뇌졸중의 중요한 원인이다. 특히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의 45%가 흡연이 질환의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 자체도 문제지만 흡연이 고혈압이나 심장질환, 기타 다른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로 작용해 뇌졸중 위험도를 증가시킨다.스포츠와 레저 등 운동을 과하게 즐기는 경우도 뇌졸중의 발병 위험이 높다. 뇌동맥 박리로 인한 뇌경색이
2025-05-09 12:2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