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스마트폰 시장, 中이 휩쓸었다...삼성은 4위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모두 중국업체가 차지했다. 2023년까지 압도적 1위를 지켰던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은 4위로 하락했다.11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출하량 기준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트랜션(17%)이 첫 1위를 차지했고 오포와 샤오미가 각각 16%로 뒤를 이었다.4위는 15%를 기록한 삼성전자였고, 5위는 중국업체 비보(14%)였다. 애플과 리얼미는 각각 9%를 나타냈다.1위에 오른 트랜션은 10만~20만원대 스마트폰을 공급하며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시장에서 활약 중인 중국의 대표적인 저가 스마트폰 제조업체다.삼성전자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25%를 차지하며 압도적 1위를 유지하던 2022년 1분기 트랜션은 점유율 10%에 못 미치며 5위였지만,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출시한 신제품이 호조를 보이면서 지난해 4분기 처음으로 1위가 됐다.지난해 전체 동남아시아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년보다 11% 증가한 9천670만대를 기록했고, 오포는 출하량 1천690만대(18%)로 1위를, 삼성전자는 1천660만대(17%)를 출하하며 2위에 올랐다. 트랜션과 샤오미는 각각 16% 점유율로 공동 3위에 올랐다.카날리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스마트폰 제조업체 순위가 자주 재편되는 것은 더 이상 판매 규모만으로는 브랜드의 시장 지위를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기기 판매를 넘어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등으로 수익원을 확장하는 업체가 강력한 입지를 확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2-12 09:58:18
덜 먹고 빨리 자라는 '이것', 미래 식량 되나
동남아시아에서 고기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사육되는 비단뱀이 기존 축산 시스템을 보완할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5일 과학 저널 사이언피틱 리포트에서, 호주 시드니 매콰리대 대니얼 나투시 박사팀은 태국과 베트남 농장에서 사육되는 비단뱀의 1년 성장 속도를 분석해 이러한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등에 농축산 시스템이 영향을 받고 식량 불안 가능성도 커지면서 기존 양식 ·축산업을 대체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미래 사회의 과제다.어류나 파충류, 곤충 등은 소나 가금류 같은 온혈동물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다. 특히 동남아 등 일부 국가에서는 뱀고기의 인기가 높고 사육도 활발하지만, 규모가 작아 아직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연구팀은 연구에서 태국 우타라딧주와 베트남 호찌민시에 있는 비단뱀 농장 두 곳에서 사육 중인 4천601마리의 말레이비단뱀과 버마비단뱀의 성장률과 사료 전환율 등을 분석했다. 또 비단뱀에게 야생 설치류와 어분 등 현지에서 공급할 수 있는 단백질 먹이를 주고 1년 동안 정기적으로 몸무게를 측정했다.그 결과, 말레이비단뱀과 버마비단뱀은 먹이를 자주 섭취하지 않아도 12개월간 빠르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암컷 성장률이 수컷보다 높았으며, 하루 체중 증가량은 버마비단뱀이 0.24~42.6g, 말레이비단뱀이 0.24~19.7g이었다. 또 20~27일간 먹이를 주지 않는 실험에서도 하루 체중 감소량이 0.004%밖에 되지 않았고, 먹이를 주면 성장세를 빨리 회복했다.호찌민 농장에서 버마비단뱀 58마리를 대상으로 닭고기, 돼지고기 부산물, 설치류, 어분 등을 먹이면서 사료전환율을 측정한 결과 먹이 4.1g이 체중 1g
2024-03-15 13:29:14
베트남 15세 소녀 숨지게 한 감염병은? "물과 공기로도 감염"
베트남에서 15살 소녀가 '유비저'라는 세균성 감염병에 걸린 뒤 한달 만에 숨졌다. 20일 현지매체인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중부 타인호아성에 살던 이 소녀는 지난 8월 말, 인후통과 기침, 고열 등의 증세를 보인 뒤 10일 만에 몸무게가 7kg이나 감소했다. 이달 초 아동병원으로 옮겨져 검사한 결과 유비저 감염이 확인됐다. 이후 호흡 곤란과 저혈압 증세를 보여 인공호흡기를 달고 투석 치료까지 받았으나 결국 지난 17일 사망했다. 유비저는 메리오이드증이라고도 불리며 동남아시아와 호주 북부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병이다. 상처가 난 피부를 통해 세균이 침입하거나, 오염된 물 또는 공기를 마시면 감염될 수 있다. 감염시 발열, 두통, 호흡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치료 시기가 늦어질수록 사망률이 높아져 반드시 빠른 진다과 치료가 필요하다. 베트남에서는 1925년에 유비저 환자가 처음으로 나타났다. 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09-20 15:4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