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와인, 암 예방한다? 잘못된 '통념' 와장창..."화이트와인과 다를 것 없어"
레드 와인은 다른 술보다 건강에 유익할 것이라는 통념이 있지만,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건강상 이점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레드가 화이트보다 나은 점은 없다는 것이다.이런 연구 결과는 영양학 저널(Nutrients)에 게재됐다.미국 브라운과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레드·화이트 와인이 암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22건의 환자-대조군 연구 및 20건의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하며 9만5000건의 암 사례를 확인했다.그 결과 레드 와인을 가장 많이 마신 사람들의 암 위험 지수는 가장 적게 마신 사람들에 비해 0.98이었고, 화이트 와인을 즐기는 사람들은 1.00점으로 나타났다. 두 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수준이다.암 종류별로 레드·화이트 와인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화이트 와인은 피부암 위험을 22%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와인 모두 여성의 유방암 위험을 비슷한 정도로 높였다.또 코호트 연구만을 놓고 보면 화이트 와인은 암 발생 위험을 높였고, 레드 와인은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밖에 음주량에 따른 암 위험의 상관관계를 살핀 결과, 레드 와인은 매일 한 잔(에탄올 10g)을 추가로 섭취할 때마다 암 위험이 5% 증가했지만, 화이트 와인은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종합해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이 암 위험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은 비슷하며, 레드 와인이 더 건강에 좋다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그렇다면 레드 와인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통설이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 레드 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적포도 속 '폴리페놀' 때문이다. 폴리페놀 중에서도 레스
2025-03-26 16:09:40
'이 식품' 매일 먹으면 치매 예방 효과...뭐가 들었길래?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된 차, 레드 와인, 베리류를 섭취하면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플라보노이드는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식물성 화합물로, 특히 고혈압이나 유전적 요소,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의 치매 위험도를 절반까지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연구는 영국 북아일랜드 벨파스트퀸즈대학교 연구원 에이미 제닝스 박사 등이 주도했다. 뉴스위크에 따르면 제닝스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치매 유병률이 계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수정 가능한 위험 요인이 치매 위험을 줄이거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말했다.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 치매 환자 수가 현재 5500만 명에서 2050년까지 1억5300만 명으로 3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치매의 가장 큰 위험 요소는 유전자와 나이이지만, 식단을 통해 거의 절반 정도 예방하거나 발생을 늦출 수 있다고 말한다.연구진은 영국 성인 50만 명 이상의 의료 건강 데이터가 축적된 영국 바이오탱크 자료를 통해 40~70세 성인 12만1986명이 2006~2010년 사이 섭취한 식단 정보를 분석하고 9년간 추적 관찰했다.그 결과 플라노보이드가 풍부한 차, 베리류, 레드 와인 같은 음식을 하루에 6회 추가해 섭취하면 치매 위험이 28%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차 5잔, 레드 와인 한 잔, 베리 반 줌 중 적어도 두 가지를 섭취한 참가자에게서 치매 위험이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특히 유전적 또는 우울증 등 기타 위험 요인으로 인해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은 사람들에게서 치매 위험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제닝스 박사는 “플라보노이드는 차, 베리, 오렌
2024-09-20 12:24:26
레드와인 마시면 생기는 두통, 원인 밝혀졌다
적포도주를 마시면 생기는 두통, 메스꺼움 등을 뜻하는 '레드와인 두통'의 원인이 포도주에 들어있는 '퀘르세틴'(quercetin)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앤드루 워터하우스 교수팀은 21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적포도주 속 플라바놀 성분인 퀘르세틴이 알코올 대사를 방해해 두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레드와인 두통'이란 소량의 와인을 마신 뒤 30분에서 3시간 이내에 생기는 증상을 뜻한다. 다른 종류의 알코올음료를 마실 때 두통을 느끼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알코올음료는 체내에서 알코올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로 바뀌어 두통, 안면홍조, 메스꺼움 등을 일으킬 수 있따. 그런데 체내 효소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아세테이트 등으로 바뀌면 이같은 증상이 없어진다. 즉 아세트알데히드가 분해되지 않고 쌓이면 숙취가 심해지는 것이다. 특히 동아시아인의 40% 정도는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가 없거나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적포도주 속에 들어 있는 항산화 물질 퀘르세틴이 혈류에 들어가면 '퀘르세틴 글루쿠로니드'(quercetin glucuronide)라는 형태로 바뀌는데, 이 물질이 알코올의 정상적인 대사를 방해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도록 한다고 밝혔다. 워터하우스 교수는 퀘르세틴이 건강에 좋은 물질로 알려져왔지만, 알코올과 함께 대사가 이루어지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퀘르세틴은 포도 등 다양한 과일과 채소 속에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플라바놀 성분의 하나라며, 보충제 형태로 먹기도 하는 항산화 작용 물질이라고 설명했다. 퀘르
2023-11-21 11:2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