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출산제 상담받은 위기 임산부 10명 중 1명은 '이 선택'했다
보호출산제가 시행된 이래 위기 임산부 1072명이 상담을 받았으며, 107명은 아이를 직접 키우기로 결정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보호출산제는 미성년자 임산부 등 사회·경제적 위기에 처한 임신부가 신원을 숨기고 출산해도 정부가 아동의 출생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보호출산제 추진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7월 19일 보호출산제 시행 이후 지난달까지 위기 임산부 1072명이 3913건의 상담을 받았다.앞서 정부는 의료기관이 출생 사실을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는 출생통보제가 도입되면 신원 노출을 꺼리는 임신부가 병원이 아닌 곳에서 출산하고 아이를 유기하는 부작용이 늘어날 수 있다며 보완책으로 이 제도를 도입했다.상담받은 위기 임산부 중 107명은 원가정 양육을 택했고, 60명은 보호출산을 했다. 20명은 출생신고를 한 후 아이를 합법적으로 입양 보냈다.김 의원은 "상담을 통해 원가정 양육을 택한 경우가 보호출산보다 많았다"며 "보호출산제는 일각의 오해와 비판과 달리 보호출산이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하기 전에 임산부가 직접 아이를 양육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는 제도"라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2-03 14:3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