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졌던 배추·무 가격 다시 올라, 이유가?
배추와 무 가격이 다시 올랐다. 24일 한국농수산식품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배추(상품) 평균 소매가격은 한 포기에 4639원으로 1년 전(2817원)보다 65% 비싸다. 배추 가격은 평년보다 46% 비싸며 1개월 전과 비교해도 50% 뛰었다.전날 기준 무(상품)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3373원으로 작년보다 91% 비싸고 평년보다 68% 높다. 이는 전달보다 26% 오른 것이다.배추와 무 소매가격은 지난달 하순까지 하락세를 보이다가 이달 들어 상승세로 돌아섰다.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불볕더위 영향으로 지난 10월까지 8000원 안팎 수준으로 고공 행진하다 본격적인 가을배추 출하에 따라 지난달 하순 3090원까지 낮아졌다. 하지만 이달 초순부터 다시 오르기 시작해 이달 중순 4397원에서 이달 하순 4639원으로 올랐다. 무는 이달 중순 3236원에서 이달 하순 3373원까지 뛰었다.겨울 배추와 무 재배 면적이 감소한 데다 단수(단위 생산량)도 줄어든 것이 가격 상승의 배경으로 꼽힌다.또한 무 역시 파종기 고온으로 생육이 좋지 않았으며 월동 무가 주로 나는 제주도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줬다. 한편 양배추 등 다른 채소의 가격도 높은 편이다. 양배추 평균 소매 가격은 전날 기준 한 포기에 5009원으로 작년(3970원)보다 비싸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2-24 13:20:07
올해 김장 비용 약 33만원…속이 꽉 찬 배추 만나려면?
올해 4인 가족을 기준으로 전통시장에서 김장 준비를 하면 약 33만1000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김장재료(4인 기준)를 전통시장에서 구매한 비용은 33만1500원으로 작년 30만1000원보다 10.13% 늘었다.물가정보가 조사한 기준(할인 지원 등 제외)으로 배춧(20포기)값은 작년 8만원에서 올해 10만원으로 25% 오르고 무(10개) 가격은 1만5000원에서 3만원으로 두 배가 됐다.쪽파(2단)도 1만2000원에서 2만원으로 66.67%, 총각무(3단)는 1만2000원에서 1만3500원으로 12.50% 각각 비싸졌다.생강(-30.00%)과 천일염(-28.57%), 대파(-25.00%) 가격은 작년보다 내렸고, 깐마늘과 멸치액젓 가격은 동일했다.양념에 들어가는 고춧가루와 소금 등 부재료는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보였다.김장재료를 대형마트에서 구매한 비용은 39만9430원으로 작년 36만6360원보다 9.03% 늘었다. 배춧값은 20.88%, 무는 106.15% 각각 비싸졌다.김장 부재료 등의 김장 재료는 작황이 좋은 데다 정부 비축 물량까지 공급돼 가격이 계속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이동훈 한국물가정보 팀장은 "배추 가격은 생산 시기와 지역에 따른 품질 차이를 고려할 때 작년과 비교해 아직 비싼 편"이라고 말했다.이어 "올해는 여름철 이상기후로 배추 정식 시기가 늦어진 만큼 김장용 배추로 적합한 속이 더 차오르고 수분이 빠진 좋은 배추를 구매하려면 평소보다 1∼2주 늦게 김장하는 것이 지혜로운 김장법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1-18 14:52:39
김장철 코앞인데 배추·무 가격 안정 찾았나?
김장철을 앞둔 지난달 김장재료인 배추·무 가격이 작년 같은 달보다 50%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그동안 치솟았던 배추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 현재 포기당 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5일 통계청의 10월 소비자물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같은 달보다 가격이 오른 농축산물은 배추(51.5%), 무(52.1%), 상추(49.3%), 호박(44.7%), 토마토(21.3%) 돼지고기(4.7%) 등이다.채소류는 1년 전보다 15.6% 올라 2022년 10월(22.1%)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특히 김장 재료인 배추와 무의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배추와 무는 9월 중순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생육이 부진해 10월 중순까지 높은 가격을 형성했다. 그러다 10월 하순부터는 기상 여건이 좋아져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했다.배추 포기당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달 중순 8877원에서 지난달 하순 7422원으로 내렸고 지난 4일 기준 4810원으로 5000원 아래로 떨어졌다.무 소매가는 지난달 하순 3525원에서 지난 4일 3019원을 기록했다.박순연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본격적인 김장철이 시작되는 이달 중순 이후에는 더욱 안정돼 평년 수준에 근접할 것"이라고 기대했다.한편 오는 7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대형·중소형마트와 전통시장 등 전국 1만8300곳에서 배추, 무, 고춧가루, 마늘, 양파 등 김장재료 전 품목을 할인 지원하고 수육용 돼지고기도 한돈자조금을 활용해 할인행사를 추진한다.김장재료 할인정보는 한국농수산식품공사 농산물유통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박 정책관은 "현재는 농산물 공급이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갑작스러운 한파 등으로 수급 여건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농산
2024-11-05 12:54:56
배춧값 폭등에 대형마트 배추 오픈런·포장 김치 품절
배추 가격이 폭등하며 26일 오전 일부 대형마트에서는 배추 물량이 모두 소진되고 포기김치 상품이 품절 현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전날 기준 배추 1포기 평균 소매 가격은 9383원이다.이날 현재 배추 1포기 소매가격은 이마트는 6천384원, 홈플러스 7990원, 롯데마트는 7992원에 각각 팔고 있다.시세 대비 배추를 30%가량 저렴하게 판매하는 이마트는 일부 점포에서 오전 중 배추 품절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이마트는 더 많은 고객이 배추를 살 수 있도록 지난달 30일부터 점포 상황에 따라 1인당 3포기만 구매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이마트 일부 점포에서는 개장 전부터 기다렸다가 배추를 사는 '오픈런'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홈플러스도 대다수 점포에서 오전 중에 배추 물량이 전량 소진되고 있다고 전했다.홈플러스 관계자는 "배추 할인 판매로 전통시장 대비 가격이 절반 수준이다 보니 준비한 물량이 오전 중에 모두 빠르게 팔려 나간다"며 "사재기 현상은 아직 없기에 구매 수량에 제한을 두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대형마트들은 가을배추 주산지인 해남의 폭우 피해로 수확 물량이 크게 줄고, 충청 산지 또한 피해가 있는 상황이라고 우려한다.김장용 절임배추는 사전에 대량으로 물량을 확보하고 계약했기에 합리적 가격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또한 배추 가격 상승으로 대형마트의 김치 코너에서 배추 포기김치도 일부 동나고 있다.배추 수급 문제로 포기김치 생산량이 줄어 대형마트 입고량 또한 일시적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다.이마트의 경우 포기김치 입고량이 평시 판매량의 45∼50% 수준으로 줄어 전날
2024-09-26 15:00:21
폭염에 '金배추'…정부가 예상한 가격 안정 시점은?
배추 소매가격이 19일 한 포기에 7000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날 배추 소매가격은 포기당 6888원으로 조사됐다. 배추 가격은 이달 상순까지 한 포기에 5000원대에서 지난 12일 5990원으로 올랐다. 이날 배추 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하면 16.8% 비싸고 평년보다는 20.9% 높다. 평년 가격은 2019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작년보다 여름 배추 재배 면적이 줄어든 가운데 농가에선 추석 수요를 고려해 이달 말부터 다음 달께 여름 배추를 수확할 수 있도록 심는 시기를 늦췄다.이에 더해 폭염이 이어지며 일부 지역에서는 생육 부진 현상을 겪고 있다.농식품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비축해 둔 배추를 하루 400t(톤) 방출하는 등 공급량을 늘렸고 농가 등에 조기 출하를 지원하기로 했다.이에 농식품부는 이달 하순 이후에는 가격이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태풍 등 기상 변수에 따라 배추를 비롯한 농산물 수급 상황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8-19 19: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