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투자하면 월700만원 현금흐름으로 노후 대비, 진짜일까?
상품권 투자 혹은 아트테크 등으로 많게는 월 몇백에서 몇천 이상의 부수입을 가져갈 수 있다며 금융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사례가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이러한 유사수신 관련 신고·제보가 작년 410건으로 전년(328건) 대비 82건(25%) 증가했다고 11일 밝혔다.금감원은 이 중 혐의가 구체적인 35개 업체(90명)를 적발해 경찰청에 수사 의뢰했다.유사수신 행위란 인허가를 받지 않고 여러 사람에게서 원금 이상을 보장한다며 투자금을 모으는 것을 말한다.작년 불법 자금모집행위 유형으로는 신재생에너지, 반도체 제조업 등 신기술·신사업을 가장(17건, 48.6%)한 유형이 가장 많았다.이어 주식 등 금융상품 및 가상자산 투자(12건, 34.3%)인 것처럼 속이거나, 부동산 투자를 가장(6건, 17.1%)한 유형도 많았다.금감원에 따르면 이들은 유튜브나 블로그 등에 가짜 투자성공 후기를 게시해 투자금을 모집한 뒤 잠적하는 수법을 주로 쓰고 있다."월 3300만원 버는 주부", "월 700만원으로 노후 대비" 등 초고수익을 제시하는 자극적인 섬네일이나 문구를 달고 수백개의 긍정적인 조작 댓글로 투자자들을 현혹한 것으로 파악됐다.특히 부동산 경매학원 등에서 고수익 보장을 미끼로 자금을 모집한 경우도 많았다. 경매 관련 강의를 하면서 특정 지역의 개발계획을 과장되게 안내하고 수강생을 대상으로 해당 지역 공동투자를 명목으로 경매낙찰대금을 모집한 뒤 잠적하는 방식이다.금감원은 "'고수익이면서 원금이 보장되는 투자는 없다'는 평범한 진리를 기억해야 한다"며 "온라인에서 접하는 투자 성공 후기는 불법업체의 유인 수단일 가능성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
2025-02-12 22: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