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차 증후군을 잡아라. 새차는 새차 냄새가 나지 않을수록 좋다!
신차를 구매한다는 것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겁고 흥분되는 일이다. 그러나 자칫하면 신차 냄새가 나와 사랑하는 가족의 건강을 해칠 수 도있다.새집증후군에 대해서는 이제 많이 알고 있고,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 친환경 제품으로 시공하거나, 환기를 오래 해서 혹시나 남아있을 수 있는 유독성 물질을 제거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신차의 경우에는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새차 증후군이란, 처음 차량을 제조하면서 사용되는 각종 화학약품으로 인해 승객들은 두통과 메스꺼움, 그리고 피로감 등을 느끼고 심하면 눈이나 피부가 따가움을 느끼기도 한다.바로 차량 시트와 바닥재, 천장재 등에 사용되는 소재와 이를 부착하는 접착제에서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배출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이다.새차 증후군의 유해 물질로는 ▲벤젠 ▲에칠벤젠 ▲자이렌 ▲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디클로로벤젠 ▲펜타클로로벤젠 ▲톨루엔 ▲스틸렌 ▲크실렌 등이 있다. 이 성분들은 주로 플라스틱 내장재가 주요 발생 원인이고, 앞뒤 안전유리를 장착하는 공정에서 도포된 접착제에서 화학적 악취가 심하게 발생한다.자동차 실내의 고체 표면은 섬유나 플라스틱으로 일부 접착제와 방수제를 함유하고 있어 잔류용매나 화학물질이 발생한다.국토교통부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벤젠/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스타이렌, 아크롤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유해 물질로 지정해 놓고 있으며 각각의 물질에 기준치를 정해 놓고 있다.포름알데히드는 수분과 결합하여 포말린 혹은 포르말린이 된다. 이 물질은 곰팡이, 박테리아 등을 막는 약품으로 사용되
2019-04-02 17:59:10
국토부, 새집증후군 예방 위해 친환경 건축자재 성능·안전성 점검 실시
새집증후군 예방을 위한 친환경 건축자재 점검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공동주택에 납품․사용되는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친환경 성능과 안전성 확인을 위해 오는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현장점검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부실한 친환경 자재가 생산‧납품되어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자재 제조․유통사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제대로 된 친환경 건축자재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다. 점검 대상 주요 자재는 ▲벽지▲합판마루▲륨카펫▲석고보드▲접착제▲실란트 등 친환경 성능 확보가 필수적인 6종의 실내 마감재다. 이번 점검은 국토교통부 주관 전문기관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합동으로 진행된다. 점검 대상은 6종의 자재 제조․유통업체 중 무작위 추출을 통해 선정된다. 점검 방법은 새집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HCHO) 등 자재별 오염물질 방출량과 친환경 건축자재의 성능과 한국산업규격(KS) 품질기준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필요할 경우 표본 시험을 통해 정확한 성능을 확인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점검 결과 친환경 기준에 미달하는 자재에 대해서는 해당 자재에 대한 사용 중단 명령, 시공 부분에 대한 시정 조치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이번 점검을 통해 친환경 자재 제조업계 전반으로 성능․품질기준을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민들이 친환경 건축자재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아가겠다”며, “향후, 점검 효과를 분석하여 점검 대상을 넓히는 등 보다 건강
2018-03-22 13: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