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안 산다" 팍팍해진 가계 소비, 그나마 지갑 열린 곳은...
작년 4분기 가계소득이 6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소비지출 증가 폭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심리 위축으로 자동차 등 큰 규모의 지출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통계청은 27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가구(이하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당 소득은 521만 5천원으로 전년보다 3.8% 늘었다. 소득은 2023년 2분기 0.8% 감소한 이후 6분기 연속 증가세다.근로소득은 324만1천원으로 2.3%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109만 1천원 5.5%, 이전소득은 70만 9천원으로 5.6% 각각 올랐다.소비자물가 상승을 반영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2.2%로 지난해 2분기(0.8%) 이후 3분기 연속 증가했다.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 2020년 4분기(-2.3%) 감소한 후 16분기 연속 증가해, 작년 동기보다 2.5% 늘어난 290만 3천원을 기록했다. 다만 증가 폭은 코로나19 사태 중이던 2021년 1분기(1.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소비가 증가한 분야는 주거·수도·광열(7.6%), 음식·숙박(5.1%), 오락문화(11.1%), 보건(6.2%) 등이다.주거·수도·광열은 월세 거래량이 늘고 가격지수도 오르면서 주거비 상승률이 12.9%로 4분기 기준으로 202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풀이했다. 음식·숙박은 소비자물가가 상승하면서 지출 규모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반면 교통(-9.6%)에서는 큰 폭으로 줄었다. 자동차 구입이 1년 전보다 29.0% 줄어든 영향이다. 가정용품가사서비스(-3.7%), 통신(-2.4%) 등에서도 감소했다.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 증가한 420만7천원을,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30만 5천원
2025-02-27 16: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