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진수성찬에 과식·소화불량…'거꾸로 식사법' 도움
설날에는 전, 튀김, 고기, 떡, 약과 등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많은 음식을 주로 먹는다. 이에 소화불량, 복통, 식중독 등 소화기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예방을 위한 첫 번째 방법은 과식을 피하는 것이다. 다양한 음식을 한 끼에 많이 먹게 되면 위에 부담을 줘 속 쓰림, 복통, 더부룩함 등의 소화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하루 권장 칼로리를 초과해 불필요한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며 혈당을 급격히 상승시켜 건강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따라서 평소 식사 시간과 양을 고려해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채소부터 시작해 생선, 육류 등을 먹고 밥을 마지막에 먹는 거꾸로 식사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천천히 섭취하며 배가 80% 정도 찬 상태에서 멈추는 것이 이상적이다.설날에는 오랜만에 만난 가족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음주에도 자연스럽게 노출되는데 과음은 위 점막을 자극해 위염이나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간, 췌장, 장 등 소화기 계통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빈도와 음주량 역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하다.대동병원 내과 김재한 과장은 “요즘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명절 음식에 대한 주의 사항을 여러 차례 접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오랜만에 가족들을 만나면 자연스럽게 과식이나 과음으로 이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지적했다.이어 "실제로 명절 연휴 기간 중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 중 복통, 위장염, 식도염 등 소화기 질환이 빈번해 명절에도 건강 관리에서 소홀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말했다.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날 경우 탄산음료를 섭취한다고 소화 기능 완화에 도움을 주지 않으므
2025-01-27 12:22:38
과식도 안 했는데 온종일 '더부룩'…한의학적 치료법은?
가을철 소화 불량으로 한의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별한 질환을 우려해 내과 검진을 함께 받는 경우도 있지만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특별한 원인 없이 상부 위장관 증상이 만성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을 기능성 소화 불량이라고 한다. 검사를 해도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고 소화제만 반복적으로 복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의학에서는 소화불량 증상을 타고난 체질과 연관해서 이해할 때가 많다. 즉 소화기 체질의 강약이 사람마다 다르다고 본다. 속이 찬 사람과 따뜻한 사람은 소화되는 능력이 다르고 신경성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또한 가족력으로 인한 문제도 있다.보통 원인은 생활 환경에 있는 경우가 많다. 소화력이 좋았던 사람도 급하게 식사를 하거나 억지로 먹는 경우 식후에 소화를 시킬 시간 없이 오래 앉아 있거나 하게 되면 기능성 소화불량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럴 때는 반복되는 환경적 원인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는 생활 환경 개선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소화 불량 문제가 반복되는 경우 위장을 튼튼하게 만드는 법을 같이 병행한다. 이때 소화기 증상을 ‘기’의 문제로 본다. ‘기’는 위장의 움직이는 모습을 전 체적으로 말하는 용어다. 음식이 들어오면 위장이 움직여야 한다. 이때 길이 막혔다면 뚫어준다. 관련 혈자리를 따주기도 하고 침뜸 및 한약 치료를 하기도 한다. 함소아한의원 울산분원 이진혁 대표원장은 "위장이 덜 움직이면 기가 부족하다고 보고 위장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치료를 한다"면서 "환자들은
2024-11-01 18:4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