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슈퍼컴퓨터 성능, 세계 몇 위?
우리나라가 슈퍼컴퓨터가 보유 대수 세계 7위, 성능 기준 세계 9위에 각각 올랐다.15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 따르면 12일부터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리고 있는 '슈퍼컴퓨팅 콘퍼런스 2023'에서 발표된 전 세계 슈퍼컴퓨터 순위 '톱(Top) 500'에서 우리나라 슈퍼컴퓨터는 총 12대로, 국가별 보유 대수 순위에서 이탈리아와 함께 공동 7위를 기록했다.성능 기준으로는 총합 151.3페타플롭스(PFlops)로 9위였다.우리나라는 세종(Naver, 22위), Olaf(IBS, 496위) 등이 리스트에 새롭게 등재됐다.삼성종합기술원의 SSC-21(28위)과 SSC-21 Scalable Module(429위), 기상청의 구루(GURU)(47위)와 마루(MARU)(48위), SKT의 타이탄(Titan)(59위), KT의 KT DGX SuperPOD(72위), 광주과학기술원(GIST)의 Dream-AI(244위)는 순위가 각각 변동됐다.KISTI의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의 연산 속도는 25.7페타플롭스(PFlops)로 61위에 기록됐다.이번 순위에서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의 '프런티어(Frontier)'가 1위를 차지했다.2022년 6월부터 1위를 지키고 있는 프론티어의 실측 성능은 1.194엑사플롭스(EF)로 1초에 119.4경 번 연산이 가능하다.슈퍼컴퓨팅 콘퍼런스는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독일과 미국에서 두 차례 열리며, 1초에 몇 번 연산하는지를 기준으로 한 톱(Top) 500을 선정해 발표한다.톱 500 순위 중 성능 면에서는 미국이 53.0%, 일본이 9.5%, 중국이 5.8%를 차지해 이들 국가가 전체의 68.3%를 차지했다.수량에서는 미국이 161대(32.2%), 중국이 104대(20.8%), 독일이 36대(7.2%)로 뒤를 이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3-11-15 18:12:01
美 매체, '세계 최고의 나라' 순위공개...한국은 몇위?
미국의 한 매체가 '최고의 나라' 순위를 선정해 87개국의 순위를 매겼다. 1위는 스위스, 미국은 5위였으며, 한국은 21위를 차지했다.US뉴스앤드월드리포트는 지난 3월17일부터 약 3개월 간 설문조사를 실시해 전 세계 1만7000여명의 답변을 취합해 87개국의 순위를 매겼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10위 안에 든 국가들은 △1위 스위스 △2위 캐나다 △3위 스웨덴 △4위 호주 △5위 미국 △6위 일본 △7위 독일 △8위 뉴질랜드 △9위 영국 △10위 네덜란드 등으로 나타났다.상위권에는 대부분 서구권 국가들이 포진했다. 25위 안에 든 비서구권 국가는 일본 외에 싱가포르(16위)와 중국(20위)이 있었고 그다음으로 한국(21위)이 있었다.세부 평가항목에서 한국은 △문화 영향력(7위) △기업 활동(7위) △변동(10위) △파워(6위)에서 높은 순위를 거뒀다. 반면 △모험(54위) △사업환경(74위)에서는 성적이 저조했다.1위 스위스는 2017년부터 매년 1위를 지키고 있다. 올해 스위스는 가중치가 높은 세 가지 세부 평가항묵인 △기업 활동(6위) △삶의 질(6위) △사회적 목적(8위)에서 순위가 높았다.미국은 2019년부터 2022년까지 8위에서 4위로 꾸준히 순위를 올렸으나 올해는 한 계단 떨어진 5위를 차지했다.미국의 순위는 약간 떨어졌지만 퓨리서치센터의 리처드 와이크 국제평판 책임자는 "우리가 조사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인기가 있고, 정책에 대한 지지도 또한 더 높았다"며 "사람들이 미국 전반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말했다.한편 가장 순위가 낮은 나라는 미국과 갈등을 벌이고 있는 이란(87위)이었으며 최하위권에는 △벨
2023-09-08 17:06:47
英 대학, 도시별 우한폐렴 위험도 순위 발표…서울 4위
영국의 대학 연구팀이 향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우한폐렴) 확산이 가장 우려되는 도시들의 순위를 발표했다.20일(현지시간)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교 앤드류 태텀 지질·환경학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전 세계의 항공 여행 데이터 등을 분석, 이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발표했다.연구팀은 익명 처리된 휴대전화 및 IP 주소 데이터와 함께, 춘절(春節·중국 설) 연휴 15일 전부터 발생한 중국인들의 비행기 여행 데이터를 이용했다.연구 데이터는 올해를 제외한 지난 몇 년 동안 축적된 내용을 사용했다. 따라서 올해 춘절 연휴 직전(23일)에 시작된 후베이성 폐쇄 조치나 기타 질병 대책의 영향력은 고려되지 않았다.그러나 연구팀은 중국인 중 많은 비율이 춘절 연휴 시작일 2주 전부터 해외여행을 시작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즉, 후베이성 폐쇄 조치 이전 해외로 떠난 중국 여행객들의 숫자가 적지 않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폐쇄조치 직전 우한에서 한국으로 온 단체 관광객이 서울 전역을 관광한 뒤 27일 다시 출국한 사례가 보고됐다.연구팀이 이렇게 향후 전염사례 발생확률이 가장 높은 도시들의 순위를 정리한 결과 1위 도시는 태국 방콕이었다. 실제로 태국은 확진자가 14명 발생했으며 이는 중국 이외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은 숫자다.2,3,4위는 각각 중국 홍콩, 대만 타이베이, 대한민국 서울이 차지했다. 이외에도 11위까지는 모두 중국인들이 다수 방문하는 동남아시아권 도시인 것으로 나타났다.중국 내부적으로 살펴볼 때는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충칭 등이 특히 위험했다. 그리고 우한시가 위치한 후베이성 이외에 광둥성, 저장성, 쓰촨성, 허난성 일대도 위험성이
2020-01-29 11:4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