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입사한 19세 천재 소년, "아시아계라 명문대 불합격" 소송
'미국 수능'이라 불리는 SAT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구글 입사 제의까지 받은 19세 아시아계 소년이 자신을 불합격시킨 일부 명문대학을 상대로 '인종차별' 소송을 제기했다.3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포스트는 "고등학생 때 이미 구글 입사 제의를 받았으나 16개 대학에서 거절당한 천재 소년이 차별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며 스탠리 종(19)의 사연을 보도했다.매체는 그를 '거의 완벽한 대학 지원자'라고 소개했다. 캘리포니아주 팔로알토에서 자란 스탠리 종은 고등학교 학점(GPA) 4.42점을 받고, 미국의 대학입시 시험인 SAT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는 등 우수한 지원 조건을 갖췄다.그는 전자 문서 서명 플랫폼을 제작하는 '래빗-사인'이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기도 했고, 졸업 전 구글로부터 박사에 준하는 일자리를 제안받았다.그러나 대입 과정에서 스탠리는 예상치 못한 벽에 부딪혀야 했다.그는 UCLA, 메사추세츠공과대(MIT), 스탠퍼드, 캘리포니아공대, UC버클리 등 16개 대학에 지원했지만 모두 불합격했고, 텍사스 오스틴 대학과 메릴랜드 대학에만 합격했다.이런 결과에 놀란 스탠리와 가족들은 소문으로만 듣던 '어퍼머티브 액션'(Affirmative action)을 떠올리며 부당함을 느꼈다.어퍼머티브 액션은 대학 입시에서 소수 인종을 우대하는 정책으로, 흑인과 라틴계 미국인은 이를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얻지만 백인·아시아인들은 좋은 성적을 받아도 입학이 어려워지는 등 '역차별'이 발생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스탠리의 아버지 난 종은 "아시아계 학생이 대입에서 더 높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소문을 듣긴 했지만, 소문일 뿐이라고 생각했다"며 &quo
2025-03-07 13:58:17
화재에도 멀쩡했던 '이 텀블러', 납 성분 들었다?
약 두 달 전, 미국 내 발생한 자동차 화재 현장에서 얼음 음료가 그대로 보존된 '스탠리'(Stanley) 텀블러가 발견돼 주목받은 바 있다. 스탠리 텀블러는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들고 다니며 MZ세대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그런데 이 스탠리 텀블러에서 납 성분이 검출됐다는 얘기가 돌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29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최근 소셜미디어(SNS)에 스탠리 텀블러의 납 성분을 검출하는 영상이 많이 올라왔다.영상을 찍은 이들은, 납과 접촉하면 변색되는 용액에 면봉을 적셔 텀블러 내부 바닥을 문질렀더니 색이 변했다고 주장했다.독성이 있는 중금속인 납은 인체에 흡수될 경우 다른 중금속에 비해 배출될 때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며, 체내 과잉 축적되면 변비, 복통 및 신경계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또 성장이 소아에게는 성장 방해, 과잉행동 장애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이 같은 영상을 본 소비자들은 불안해하고 있다.스탠리 측은 텀블러 바닥을 밀봉하는 재료로 납이 일부 사용됐다고 설명하면서, 이 납은 소비자와 직접 접촉할 일이 없다고 해명했다.스탠리 대변인은 "제조 과정에서 제품 바닥에 자리한 진공 단열재를 밀폐하기 위해 업계 표준 입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 밀폐 재료에 납이 일부 들어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일단 밀폐되면 바닥은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덮이기 때문에 소비자와 닿을 수 없다. 소비자가 접촉하는 어떤 스탠리 제품의 표면에도 납이 없고 내용물에도 납이 없으니 안심해도 된다"며 안전함을 강조했다.스탠리 측은 텀블러가 극단적으로 높은 온도에 노출되거나 파손되는 등 의도에 맞지 않는 방식으
2024-01-30 14:0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