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대 저렴하게 해서 남는 장사 했네?" 축의금 얘기에 마음 상한 女 사연은
축의금을 더 내라고 말한 친구에게 감정이 상했다는 유부녀의 고민이 알려져 주목받았다.2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축의금 받은 대로 돌려줘도 괜찮을까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13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화제가 됐다.글 작성자 A씨는 "저 포함 총 6명 친구 무리가 있다"며 "제가 결혼을 4년 전에 제일 빨리했고 친구들이 축의금을 1인당 60만원씩 5명 해서 총 300만원을 하는 것으로 정해, 저는 그렇게 받았다"고 운을 뗐다.그는 "이제 줄줄이 결혼하는데 저는 받은 만큼 60만원씩 그대로 돌려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런데 A씨에게 한 친구가 '너는 식대 저렴하게 해서 남는 장사 했네', '당연히 남편 데리고 와서 축의금 따로 내야 하는 거 알지?', '서울 유명한 OO 웨딩홀 계약했다' 등의 말을 하며 A씨에게 부담을 줬다고.A씨는 "이런 말을 하는데 60만원 정했던 금액이 아닌 축의금 더 내라는 말로 들리고 기분이 좋지 않다"며 "저 축의금 60만원 그대로 받은 만큼만 줘도 괜찮을까요. 4년 전이면 더 내야 하는 걸까요?"라며 다른 이들의 생각을 물었다.글을 읽은 한 누리꾼은 "(친구에게) '식대가 부담이면 축의금만 보낼게, 답례품은 택배로 보내줘. 형편에 맞는 곳에서 하지 왜 비싼 곳에서 해서 하객들 밥도 못 먹이니'라고 말해라", "축의금만 주고 '너 남는 장사 하라고 안 갔어'라고 해라" 등의 반응을 나타냈다.또 다른 누리꾼은 "글 쓴 분이 밥값 비싼 곳에서 하라고 한 것도 아니고, 글 쓴 분이 물가를 올린 것도 아닌데 굳이 왜? 그냥 60만원 해라"라며 친구의 태도가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2025-03-25 17:59:02
결혼식 식대만 7~8만원...예식비 부담에 예비부부 '울상'
결혼식장 식대,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웨딩홀 대여 등 가격이 전부 오르면서 예비부부의 한숨이 늘어나고 있다.8일 웨딩업계에 따르면 서울 결혼식장의 식대는 대부분 7~8만원 선으로 책정돼있다. 강남권은 식대가 8~9만원을 웃도는 곳도 흔하다.결혼식 건수가 급격히 줄었던 코로나19 사태가 끝나고 웨딩업계는 식대, 스드메, 웨딩홀 대여 등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특히 최근 결혼식장은 고물가와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식대를 대폭 인상했다.같은 식사 구성임에도 식대가 지난해보다 1만원 이상 오른 곳이 많고, 웨딩홀이 정한 식사 제공 최소 인원인 '결혼식장 보증 인원'도 최소 250명가량으로 굳어지고 있다.실제로 서울 송파구에 있는 한 결혼식장의 식대는 지난해 6만2천원이었지만, 올해 8만3천원으로 1년간 33.9% 인상됐다.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결혼식장은 지난해 식대가 7만원이었지만 올해는 8만5천원으로 1년 사이 21.4%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예비부부은 좋다고 입소문이 난 결혼식장이 많지 않고, 식사가 맛있는 곳에서 하객을 대접해야 하므로 선택지가 적다고 호소한다. 또 식장마다 요일별, 비성수기·성수기 등 결혼 시점, 할인 혜택 등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만별인데다 대략적인 표준 가격을 알기 어려운 '깜깜이' 풍토도 어려움을 더한다.식대가 오르면서 하객들의 축의금 부담도 커지고 있다. 그간 축의금으로 통상 5만원, 가까운 관계인 경우 10만원 안팎을 내는 풍토였지만, 고물가 상황 속 이런 통념이 바뀌고 있다.직장인 김모(30)씨는 "결혼하는 친구들이 식대가 많이 올랐다고 얘기하는 걸 듣고 축의를 더 해야 하나 고민중이다&quo
2024-10-08 09:4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