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 7시간 미만 수면…건강에 어떤 악영향 줄까?
수면에 하루 7시간 미만을 투자하면 어떤 신체 변화가 나타나는지 인공 지능에게 물었다.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매트리스·침구 제조 업체 심바(SIMBA)는 영국 성인 2175명을 대상으로 수면 습관과 신체 건강 및 외모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이러한 결과를 AI에 입력했다.AI가 도출해 낸 ‘7시간 미만 수면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수면이 부족한 남성과 여성은 근육이 빠지면서 지방이 늘어나고 살이 쪘다. 얼굴에는 여드름과 잡티 등이 생겼으며, 안색이 어두워지고 눈 밑에 심한 다크서클과 주름이 생겼다. 연구 관계자는 "잠이 부족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가 상승해 염증성 피부 질환이 심해지고, 습진이나 건선 같은 질환이 악화해 붉어짐과 가려움증이 생긴다"며 "혈류가 감소해 피부가 누렇게 보이고 생기가 사라진다. 자연스러운 광채와 활력도 없어진다"고 설명했다.설문 결과에 따르면 수면 부족을 호소한 이들 중 24%는 피부가 민감하다고 답했다. 손·발톱이 쉽게 갈라지고 부서지는 조갑 박리증 등을 겪은 사람도 15%였다. 습진(16%), 건선(7%), 칙칙한 피부색(10%) 등을 경험했다는 사람도 있었다. 특히 응답자의 26%가 과체중에 시달렸으며 32%는 복부 팽만감을 경험했다고 대답했다.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서 2021년 기준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1분으로 집계됐다. OECD 평균은 8시간 27분이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2-20 13:42:21
잘 먹는 아이, 기특하지만 '이것' 때문에 키 안 클 수도
성조숙증은 여아의 2차 성징이 만 8세 이전,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성조숙증이 있는 아이는 높은 확률로 여아가 만 10세 이전, 남아가 만 10세 6개월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게 되며 이 경우 최종 신장이 평균보다 작을 가능성이 크다. 성조숙증은 성호르몬의 조기 분비로 인해 신체 변화가 빠르고, 성장판이 일찍 닫혀 최종 신장이 줄어들 수 있다. 또 여아는 유방 발달, 남아는 고환 발달로 성조숙증을 판단할 수 있다.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에는 환경 호르몬, 비만,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자극적인 미디어 노출 등이 있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성조숙증의 원인을 비허습온증, 간울화화증, 음허화왕증으로 나눈다. 비허습온증은 비만과 관련이 있으며, 간울화화증은 스트레스와 연결된다. 음허화왕증은 몸의 열이 쌓여 발생한다.이에 비만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가 필요하다. 아이의 식습관과 수면 습관을 점검하고, 만 7세 이후 비만이 2차 성징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호자가 인식해야 한다. 가정에서는 운동과 채식 위주의 식사를 권장하고, 요요현상을 피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식이요법을 챙겨야 한다. 체질에 따른 아침 식단으로 태음인은 유기농 요거트와 수박, 메론, 배를 포함하고, 소양인은 딸기와 참외를, 태양인은 포도와 키위를, 소음인은 귤과 사과를 먹는 것이 좋다.함소아한의원 이천점 장재찬 대표원장은 “비만과 성조숙증은 성장 클리닉에서 관리하는 것이 좋다”며 “아이의 체중 변화나 신체 변화가 있을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1-22 20:2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