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출 논란' 연대 논술, 챗GPT 쓴 1명만 송치..."나머지는 무혐의"
지난해 논란이 된 연세대학교 수시모집 논술시험 유출 사건에 대해, 경찰이 시험 시작 전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에 문제가 유출된 사실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서울경찰청 공공범죄수사대는 작년 연대 논술시험 당시 감독관의 실수로 미리 배부된 시험지를 사진 찍어 챗GPT로 풀어본 수험생 1명을 지난달 말 업무방해 혐의로 불구속 송치하고 수사를 마무리했다.이 수험생은 이후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에 챗GPT를 활용했다는 글을 올려 덜미가 잡혔지만, 챗GPT의 풀이는 오답이었고 이 수험생은 낙방한 것으로 확인됐다.경찰은 문제가 유출된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로 지목된 디시인사이드를 압수수색해 8명을 특정했으나 나머지 7명에게는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경찰 관계자는 "7명은 논술 시험 시간이 끝난 뒤에 촬영한 사진 등을 온라인에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며 "업무방해 혐의를 적용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시험지를 미리 받은 한 수험생이 "특정 문항에 도형 그림이 있다"는 취지의 글을 게시하기도 했지만, 이를 문제 유출로 보기는 어려웠다고 경찰은 덧붙였다.한편 이번 사건은 지난해 10월 연세대 자연계열 수시모집 논술시험 고사장에서 한 감독관의 실수로 시험 시작 1시간 전 문제지가 배부됐다 회수되며 시작됐다.문제 유출에 항의하는 수험생과 학교 측의 법정 싸움이 일어나는 등 혼란이 커지면서 대입 역사상 초유의 추가 시험이 치러졌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5-02-09 11:05:43
'줄줄이 자퇴' 연·고대 나온 학생들, 어디로?
최근 3년 사이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자퇴생 중 이과생들의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25일 종로학원이 대학알리비 공시를 분석해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공시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자퇴생 1천874명 중 1천421명(75. 8%)이 자연계열로 압도적으로 높았다.3개 대학의 자연계열 자퇴생 비율은 2020년 66.8%(총 1천337명 중 893명), 2021년에는 71.1%(총 1천542명 중 1천96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2022년 공시 기준 대학별로 살펴보면 서울대는 전체 자퇴생 341명 중 자연계가 275명(80.6%)으로 인문계(66명)의 4.2배 수준이었다.연세대도 총 678명의 자퇴생 가운데 자연계가 72.7%(493명)를 차지했으며, 고려대는 855명의 자퇴생 중 자연계가 76.4%(653명)나 됐다.학과별로는 자연계열에서 연세대 공학계열 144명, 고려대 생명공학부 81명, 고려대 보건환경융합학부 61명, 고려대 생명과학부 54명, 연세대 이학계열 43명,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40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인문계열은 고려대 경영학과 40명, 연세대 상경계열 21명, 연세대 언더우드학부 21명,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20명, 연세대 인문계열 19명 순으로 나타났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의 자연계열 중도탈락학생은 반수 또는 재수를 통해 의약학계열 진학으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인문계 또한 이과 전향을 통해 의약학계열 진학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약학대학 선발이 2022학년도에 대학원에서 학부로 전환됐기 때문에 약대 진학을 목표로 한 이공계생들의 반수 또는 재수 비율이 높아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임 대표는 "의학계열 집중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향
2023-01-25 11:34:46
연대 재학생-청소노동자 사태에 동문 선배들 "부끄럽다"
연세대학교 청소 노동자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시위를 교내에서 벌이자 재학생들로부터 민·형사 소송을 당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부 졸업생들이 '부끄럽다'는 반응과 함께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5일 연합뉴스 취재에 따르면 연세대 졸업생 11명은 전날부터 '연세대학교 학생의 청소노동자 고소 사건에 대한 졸업생 입장문'에 대한 서명을 온라인으로 받고 있다. 현재 303명이 참여했다.입장문에는 "졸업생으로서 참담하고 부끄러운 마음을 감출 수 없다"며 "연세대학교 청소·경비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와 투쟁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이들은 고소 학생들에게 "불편에 대한 책임을 엉뚱한 곳에 묻고 있는 무지, 눈앞의 손해만 보고 구조적 모순은 보지 못하는 시야의 협소함, 진짜 원인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지 않는 게으름이 안타깝다"고 했다.그러면서 "교재에 있는 문장 한 줄을 더 외우는 일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부당함에 대한 인식보다 중요한지 잘 모르겠다"며 "확성기 소리가 불편했다면 그분들이 확성기를 갖고 백양로로 나올수밖에 없도록 방치한 학교 측에 책임을 묻고 분노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했다.또 학교 측을 향해 "노동자들이 인간답고 안전한 환경에서 일할 수 있는 대우를 조속히 보장해달라"며 "사랑하는 모교에서 더는 부끄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한편 민사 소송은 연세대 법대 95학번인 김남주 변호사 등 졸업생 법조인들이 변론을 맡기로 했다.'연세대 비정규 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관계자는 "김 변호사가 먼저 '선배 변호인들이 대리인
2022-07-06 09:2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