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진단 이후 체중 관리 안 하면 심장질환 위험↑
유방암 진단 이후 체중 관리를 해야 심장질환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3일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한경도 숭실대 교수, 정원영 펜실베이니아대 박사 연구팀은 유방암 환자의 암 진단 전후 체중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과 심부전 발병 위험을 분석해 국제학술지에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2010∼2016년 유방암 치료를 마친 환자 4만3000명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유방암 진단 전보다 체중이 10% 이상 크게 증가한 환자는 5% 이내로 체중을 유지했던 환자보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66% 높았다.심부전의 경우 진단 후 체중이 5∼10% 늘어나면 발병 위험이 59% 커졌고, 10% 이상 체중이 늘어난 환자는 발병 위험이 85%까지 증가했다.체중이 심장질환에 미친 영향은 50세 미만 젊은 유방암 환자에게서 특히 크게 나타났다. 유방암 진단 전후 비만 상태였던 50세 미만 환자는 비만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3.58배 높았다.신동욱 교수는 "식사 조절과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생활습관만으로 체중 관리가 잘 안되면 약물 치료를 받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며 "암 치료와 더불어 심혈관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케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심혈관질환)와 '미국의사협회지 종양학'(심부전)에 각각 게재됐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4-23 11:14:19
유방암 치료법이 알츠하이머병 위험도 낮춰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호르몬 조절 요법(HMT)이 노년기 알츠하이머병 및 관련 치매(ADRD) 위험을 낮출 때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피츠버그대 프랜시스메리 모두뇨 교수와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카오 카이 교수팀은 17일 의학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유방암 환자 1만8000여 명을 대상으로 HMT 요법과 ADRD 발병 간 관계를 평균 12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유방암 환자의 약 3분의 2는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에 반응해 종양이 자라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종양을 가지고 있다. HMT는 호르몬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해 종양 성장을 방해할 수 있다.HMT 사용은 생존율 향상과 관련이 있지만 기억력 감퇴, 기분·행동 변화, 사고력·문제해결·추론 능력 저하 등이 수반되는 ADRD 위험의 증가 또는 감소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증거가 엇갈린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연구팀은 65세 이상의 연방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2007~2009년 유방암 진단을 받은 사람 중 ADRD 진단 및 HMT 사용 경험이 없는 1만8808명을 대상으로 유방암 진단 후 HMT 사용과 ADRD 발병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그 결과 65.7%(1만2356명)가 유방암 진단 후 3년 이내에 HMT를 받았고, 관찰 기간 12년 동안 HMT 사용자의 23.7%(2926명)와 비사용자의 27.9%(6452명 중 1802명)에서 ADRD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연령과 HMT 노출 기간 관련 사망 위험을 고려해 ADRD 발병 위험을 계산한 결과 HMT 사용은 ADRD 발병 위험을 전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5~69세에서 위험 감소 효과가 컸다. 이후 나이가 들면서 감소하다가 80세 이상에서는 HMT 사용자에서 ADRD 위험이 오히려 커졌다.HMT 사
2024-07-17 11:07:12
김건희 여사, 00암 예방의달 행사 참석…무슨 암?
지난 15일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유방암 예방의 달을 맞아 서울 용산구 용산공원 장교숙소에서 열린 2023 핑크 페스티벌에 참석했다.이 자리에서 김 여사는 지난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유방암이 무려 4배 이상 증가했다며 "저에게도 어린 딸을 남기고 유방암으로 세상을 떠난 친구가 있다"며 "유방암은 대단히 무서운 속도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김 여사는 "우리 모두는 이런 상황을 스스로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며 정기 검진,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 유방암 발생과 치료에 대한 인식 개선을 당부했다.이어 "진심 어린 격려는 병마를 극복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라며 "유방암 환우분들과 그 가족들을 위해 끊임없는 지원과 사랑을 보내야 한다"고 했다.유방암은 유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의 일종이다. 유방암은 흔히 두 가지로 나눠진다. 유관암과 소엽암이다. 유관암은 유방의 소엽에서 젖꼭지로 젖을 운반하는 얇은 튜브 모양의 관인 유관의 내막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시작한다. 다른 하나는 유방의 젖샘 즉 소엽에서 시작하는 소엽암이다. 유방암은 주로 여성에게 발병하지만 드물게 남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수술, 약물요법, 방사선 등이 유방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환자의 연령과 폐경 여부, 종양의 크기, 겨드랑 림프절로의 전이 정도, 건강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택해야 한다. 아울러 유방암의 예방과 조기 검진을 위해 국가 암검진 프로그램에서는 매달 유방 자가검진을 하고 만 40세 이상 여성은 1-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 및 의사의 임상 진찰을 받도록 권장하고 있다. 현재까지 유방암을 예방하거
2023-10-16 15: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