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아빠'
지난해 육아휴직 사용자 10명 중 3명은 아빠인 것으로 확인됐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등 일·가정 양립제도 혜택을 받은 수급자 수는 25만6771명으로, 전년도 23만9529명보다 1만7242명(7.2%) 증가했다.이중 육아휴직자는 13만2535명으로, 2023년 12만6008명 대비 6527명(5.2%) 늘었다.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는 4만1829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해 제도 시행 이래 처음으로 30%를 돌파했다. 2023년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5336명으로, 전체의 28%였다.2015년 남성 육아휴직자 수가 4872명(5.6%)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9년 새 9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올해 1월 1일 이후 30일 영업일 기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9.2% 늘어났다. 자녀 연령별로는 생후 12개월 이내에 육아휴직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여성은 80.0%(2.1%포인트↑), 남성은 46.5%(7.5%포인트↑)가 자녀 0세 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기업 규모별로 보면 지난해 중소기업 소속 육아휴직자는 7만5311명(56.8%)으로, 2023년 대비 1.2%포인트 증가했다. 100인 미만 소속 근로자도 6만128명(45.4%)으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늘었다.육아휴직 평균 사용기간은 8.8개월로 여성은 9.4개월, 남성은 7.6개월이다.아울러 지난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는 2만6627명으로, 전년도 2만3188명보다 3439명 증가했다.육아휴직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적지만, 지난해 14.8% 늘어나 증가율은 육아휴직(5.2%)의 2.8배로 집계됐다. 김문수 노동부 장관은 "일하는 부모 누구나 걱정 없이 출산과 육아를 하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게 올해 확대된 일·가정 양립제도가 현장에서 잘 안착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
2025-02-23 16:32:49
공무원 10명 중 2명 육아휴직 사용해
공무원 10명 중 2명 가까이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중앙행정기관 국가공무원 육아휴직 사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2년 육아휴직 대상자 중 남성 공무원은 10.6%, 여성 공무원은 37%가 사용했다. 2022년 만 8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 중 육아휴직을 사용한 공무원은 1만4181명으로 17.3%의 공무원이 육아휴직을 썼다. 육아휴직 대상자 대비 사용자 비율을 성별에 따라 분석해보면 지난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남성 공무원 6만1485명 중 6524명이 사용했고, 여성 공무원 2만645명 중 7657명이 써 각각 10.6%, 37%의 사용률을 기록했다. 50개 중앙행정기관 중 육아휴직 사용률이 가장 높은 기관은 식품의약품안전처였다. 지난해 식약처 본부의 육아휴직 대상자 259명 중 육아휴직 사용자는 144명으로 사용률이 55.6%에 달했다. 반면 가장 비율이 낮은 기관은 23명 대상자 중 1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였다. 18개 중앙 부처 중 가장 육아휴직률이 높은 곳은 34.3%인 교육부였고, 가장 낮은 곳은 14.2%인 해양수산부였다. 용혜인 의원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육아휴직을 쓰는 데도 부담이 덜한 공직사회에서도 여성과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에 큰 차이가 있다"며 "육아와 돌봄은 여성이 해야 한다는 편견이 남아있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인사혁신처는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부진한 기관에 대해 남성 육아휴직 사용을 높일 수 있는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저출생 원인의 핵심인 여성의 경력 단절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과 남성이 공평하게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2023-11-02 21: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