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유심 교체·통신사 및 번호 변경 도움" 기기 바꾸는 건?
2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가 SK텔레콤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해 '유심 구성 및 유심 복제 방지대책'을 발표했다. SKT 해킹 사태로 유출된 개인정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으려면 유심이나 이심을 교체하는 것이 좋다. 유심은 휴대전화에 삽입돼 기기 개통이나 네트워크를 인증하는 데 쓰이는 심을 뜻하며, 이심은 유심과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단말기에 내장된 칩에 통신사의 정보를 내려받는 형태의 심을 의미한다.두 심 모두 가입자를 식별하는 역할을 하지만, 유심이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하드웨어라면 이심은 다운로드 방식의 소프트웨어라는 차이점이 있다.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이용자가 유심을 교체했다면 타인이 유심을 복제해 다른 휴대전화에 꽂았다고 하더라고 쓸 수 없게 된다"며 "유심을 바꾸면 가입자 식별번호(IMSI) 및 인증키(K)가 재발급돼 해커가 탈취한 정보와 매칭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정보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이심 교체도 이와 같은 원리로 유심 정보를 도용해 복제한 뒤에 금전적·사회적 피해를 주는 심 스와핑을 방지할 수 있다고 개인정보위는 부연했다.단말기 식별번호(IMEI)와 유심 정보를 묶어서 관리하는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도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개인정보위 관계자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해 놓을 경우 (해커가 복제한 유심을) 다른 휴대전화에 삽입했더라도 해당 휴대전화는 작동이 안 된다"고 말했다.KT나 LG유플러스 등 다른 통신사로 갈아타거나, 휴대전화 번호를 변경하는 것도 개인정보 유출 피해를 차단하는 좋은 방법이다.통신사를 바꾸면 기존에 SKT의 홈가입자서버(HSS)에
2025-05-02 17:1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