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한 공무원, 주 1회 재택근무 하세요” 혜택 주는 정부 부처는?
인사혁신처가 임신 중인 공무원을 대상으로 주 1회 재택근무 의무화 제도를 도입한다.31일 인사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근무 혁신 지침'을 발표하고 정부 부처 최초로 다음 달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사처는 8세 이하 자녀를 둔 육아기 공무원에게도 주 1회 재택근무를 권장하도록 했다. 다만 재택근무가 어려운 직위는 예외를 뒀다.또 희망저를 대상으로 점심시간을 30분(12:00~12:30)으로 줄이고, 그만큼 일찍 퇴근할 수 있는 제도를 6개월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기존에는 점심시간을 2시간으로 늘릴 수 있는 유연 근무를 활용하도록 했지만, 늘어난 점심시간 만큼 늦게 퇴근해야 해서 활용도가 낮았다고 한다.따라서 앞으로는 점심시간을 포함해 주 40시간 범위에서 개인별 근무 시간 또는 근무 일수를 자율적으로 설계하고 조정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할 방침이다. 인사처는 전자인사관리(e-사람 시스템)를 통해 복무를 관리하고, 사용 현황과 만족도를 분석해 제도의 확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직원 휴게공간(북마루)과 휴가지 원격 근무(워케이션) 등 다양한 공간에서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실무 능력 향상을 위해 국회 현장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로 했다.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정시퇴근을 장려하던 '가족 사랑의 날' 제도는 10년 만에 폐지된다.인사처는 유연근무와 연가 활성화로 상시 정시퇴근 문화가 정착됐다는 평가와, 초과 근무를 못 해서 불이익이 생긴다는 낮은 연차 공무원들의 제안을 반영한 결정이라고 전했다.연원정 인사처장은 "공직사회가 더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일하면서도 성과를 내는 조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광범
2025-01-31 12:51:06
9급공무원 시험에 오타가?...'복수정답 인정'
이달 초 실시했던 국가직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의 한국사 문항에서 오타가 발견된 것과 관련해, 출제위원외 외부 위원이 참여한 정답확정회의가 복수정답을 인정하기로 했다.인사혁신처는 17일 온라인 국가고시센터에 한국사 시험 8번의 최종 정답을 기존 '2번'에서 '복수정답 1·2번'으로 변경한다고 알렸다. 변경 사유는 "오타로 인한 표기 오류"라고 밝혔다.인사처는 아울러 오타 발생과 관련, "응시자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리게 된 점에 대해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이어 "검토 인력 확충, 검토 절차 강화 등 문제 검토 시스템을 다각적으로 보완해 앞으로 시험관리를 더 철저히 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앞서 지난 8일 시행한 국가직 9급 한국사 시험에서 '고려시대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항(8번)이 나왔다.이 문제가 의도한 정답은 2번 선지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모방하여 제작하였다'이다.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원나라가 아닌 송나라의 석탑을 모방한 것이기 때문이다.하지만 1번 선지에서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에 있는 다포(多包)양식 건물 '응진전'(應眞殿)을 '웅진전'으로 잘못 쓴 오타가 나, 사실상 1번도 옳지 않은 문장이 됐다.인사처는 다만 복수정답 논란이 일었던 같은 한국사 과목의 13번 문항은 기존 정답 가안 '4번'을 최종 답안으로 유지했다.박정희 전 대통령이 '집권하여' 한 일을 묻는 이 문제에서, 집권의 기준을 5·16 군사정변(1961년)으로 봐야 하는지 박 전 대통령의 대선 당선(1963년)으로 봐야 하는지를 두고 수험생들 사이 논란이 일
2023-04-18 09:36:10
내년 국가공무원, 최초로 '이 직무' 뽑는다
6천396명을 선발하는 2023년도 국가공무원 공채시험에서 '플랫폼 정부' 구현을 뒷받침하기 위한 '데이터직 공무원' 공개채용이 최초로 실시된다. 인사혁신처는 18일 이 같은 내용의 내년도 공채 선발 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 공개했다.직급별로는 9급 5천326명, 7급 720명, 5급 305명을 각각 선발한다. 외교관 후보자는 45명을 뽑을 예정이다.선발 분야별로 보면 교정직 1천9명, 보호직 216명, 경찰청 일반직 공무원 455명, 우정사업본부 752명 등이 있다.데이터직은 5급 4명, 7급 17명, 9급 14명 등 총 35명을 뽑는다.인사처는 "데이터직 공무원은 새로운 행정수요에 정부가 과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분석·활용 등 각종 데이터 행정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장애인은 342명, 저소득층은 151명을 각각 채용할 예정이다.인사처는 내년도 데이터직 최초 선발 내용을 알리고자 공무원 선발 인원을 예년보다 일찍 발표했다고 전했다.시험·직렬별 응시 자격, 시험과목 등 최종 세부 내용은 내년 1월 공고된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2-12-18 23:5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