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고기 대신 '이것' 먹었더니 치매 위험 낮아져
붉은 고기와 가공식품을 다량 섭취하면 치매 위험이 증가하지만, 견과류와 생선은 반대로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대니얼 왕 교수팀은 16일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노장년층 13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최대 43년간 식단과 치매 위험 관계를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왕 교수는 "식이 지침은 심장병과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 인지 건강은 자주 논의되지 않는다"며 "이 연구 결과가 식단과 뇌 건강의 연관성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미국 간호사 건강연구(NHS)와 건강 전문가 추적연구(HPFS) 등에 참여한 13만3771명(평균연령 49세)의 식단과 건강정보 데이터를 최장 43년간 추적 관찰했다.이 데이터에는 참가자들의 일반적인 식단 및 상세한 건강정보가 포함돼 있으며 2~4년마다 업데이트됐다. 참가자 중 추적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모두 1만1173명이었다.적색육 1회 섭취량 86g(3oz)을 기준으로 할 때, 가공육을 포함한 적색육 섭취량이 하루 평균 21g 이상인 사람은 8.6g 이하인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13% 높고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은 14%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공되지 않은 적색육을 하루 86g 이상 섭취하는 경우 하루 섭취량이 43g 미만인 경우보다 치매 위험이 16% 높았다.가공육 또는 가공되지 않은 적색육을 많이 섭취할수록 인지 기능 저하 위험도 증가했다. 가공육 하루 섭취량이 86g 늘어날 때마다 인지 기능 노화가 약 1.6년 빨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그러나 적색육이나 가공육을 견과류와 콩류, 생선 등으로 대체하면
2025-01-16 10:19:39
커피 하루 5잔vs1잔…인지 기능서 어떤 차이 있을까?
심방세동(AFib) 위험이 있는 환자가 커피를 하루 5잔 이상 마시면 인지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취리히대 위르그 비어 교수팀은 20일 미국심장협회저널(JAHA)에서 심방세동 환자 2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카페인 함유 커피를 매일 5잔 이상 마시는 것이 커피를 한 잔 미만으로 마시는 것보다 인지 기능 저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방세동은 심장 박동 리듬이 불규칙해지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스위스 심방세동 코호트 연구(Swiss-AF)에 참여한 2413명(평균 연령 73세)을 대상으로 과거 1년간 하루 커피 섭취량을 조사하고 최소 8년간 뇌졸중, 혈액 염증 지표, 혈액 응고, 뇌 영상, 인지 테스트 등을 실시했다.그 결과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를 하루 5잔 이상 마시는 사람들이 커피를 마시지 않거나 하루 한 잔 미만으로 마시는 사람들보다 전반적으로 인지 테스트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커피 섭취량이 많은 사람은 과제 처리 속도와 시각 운동 조정, 주의력 점수 등이 하루 한 잔 미만으로 마시는 사람들보다 11% 높았고, 인지 연령은 6.7년이 더 젊은 것으로 계산됐다. 혈액 염증 지표도 매일 5잔을 마신 참가자들이 매일 1잔 미만을 마신 참가자보다 20% 이상 낮았다.비어 박사는 "커피와 여러 가지 정교한 인지 테스트 사이에는 많이 마실수록 점수가 높아지는 '용량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이 연관성은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흡연, 뇌졸중 병력 등을 고려한 후에도 유지됐다"고 말했다.연구
2024-12-20 11: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