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고기 대신 '이것' 먹었더니 치매 위험 낮아져
붉은 고기와 가공식품을 다량 섭취하면 치매 위험이 증가하지만, 견과류와 생선은 반대로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T.H. 챈 공중보건대학원 대니얼 왕 교수팀은 16일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노장년층 13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최대 43년간 식단과 치매 위험 관계를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왕 교수는 "식이 지침은 심장병과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어 인지 건강은 자주 논의되지 않는다"며 "이 연구 결과가 식단과 뇌 건강의 연관성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연구팀은 미국 간호사 건강연구(NHS)와 건강 전문가 추적연구(HPFS) 등에 참여한 13만3771명(평균연령 49세)의 식단과 건강정보 데이터를 최장 43년간 추적 관찰했다.이 데이터에는 참가자들의 일반적인 식단 및 상세한 건강정보가 포함돼 있으며 2~4년마다 업데이트됐다. 참가자 중 추적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모두 1만1173명이었다.적색육 1회 섭취량 86g(3oz)을 기준으로 할 때, 가공육을 포함한 적색육 섭취량이 하루 평균 21g 이상인 사람은 8.6g 이하인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13% 높고 인지 기능 저하 위험은 14%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공되지 않은 적색육을 하루 86g 이상 섭취하는 경우 하루 섭취량이 43g 미만인 경우보다 치매 위험이 16% 높았다.가공육 또는 가공되지 않은 적색육을 많이 섭취할수록 인지 기능 저하 위험도 증가했다. 가공육 하루 섭취량이 86g 늘어날 때마다 인지 기능 노화가 약 1.6년 빨라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그러나 적색육이나 가공육을 견과류와 콩류, 생선 등으로 대체하면
2025-01-16 10:19:39
적색육이 심혈관 건강 손상시키는 이유는?
쇠고기, 돼지고기를 비롯한 적색육(red meat) 섭취가 심혈관 건강에 좋지 않은 이류가 새롭게 밝혀졌다.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미생물 유전체·인간 건강센터의 스탠리 헤이즌 박사 연구팀은, 적색육이 심혈관 질환 위험을 높이는 장내 박테리아(에메르겐시아 티모넨시스)를 증가시키는 데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적색육을 많이 섭취하면 적색육에 들어있는 영양소인 카르니틴(carnitine)을 혈전·동맥 협착을 촉진하는 화학물질 'N-산화물(TMAO : trimethylamine-N-oxide)'로 분해하는 장 내 특정 박테리가가 크게 늘어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카르니틴은 세포의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로 지방산을 옮겨, 에너지로 전환해주는 효소다.이번 연구는 사람의 분변 샘플 분석과 생쥐 실험을 통해 진행됐다.적색육을 많이 섭취하면 분변 샘플에서 에메르겐시아 티모넨시스 박테리아가 대량 발견된 반면, 오랫동안 채식한 사람의 분변에는 이 박테리아가 아주 적었다.또 건전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사람의 식단에 단기간 적색육을 추가했을 때 혈중 TMAO 수치가 높아졌고, 적색육을 닭고기같은 백색육이나 식물성 단백질로 바꿀 시 TMAO 혈중 수치가 다시 줄어든다는 사실이 발견됐다.TMAO 수치는 혈액검사로 측정이 가능하다.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의사들이 TMAO 검사를 통해 수치가 높게 나온 사람에게는 적색육 섭취를 줄일것을 권고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적색육은 특히 포화지방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이를 많이 먹을 경우 '나쁜' 콜레스테롤에 해당하는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이 늘어난다. 연구팀은 적색육이
2021-12-30 15:01:48
빈혈 환자 증가, 원인은 '식습관'?
철분이 적은 닭고기 등의 식품을 먹는 추세가 이어지며 빈혈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철 결핍성 빈혈을 흔히 나타나는 빈혈의 형태로,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내 혈색소가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이 철분이다. 이것이 부족해지면 헤모글로빈의 생성이 줄어들고 골수에서으 적혈구 생산 또한 감소한다.철 결핍성 빈혈의 증상으로는 피로, 창백한 피부, 현기증, 쇠약 등이다. 치료하지 않은 채 놔두면 심부전을 포함한 여러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에 따르면 미국 퍼듀 대학의 영약학 교수인 코니 위버가 연구팀과 함께 1999~2018년 식품의 철분 함유량, 빈혈 환자 발생, 철 결핍성 빈혈에 의한 사망률 추이 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보도했다.이 기간 동안 철분 섭취량은 남성이 6.6%, 여성은 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또 돼지고기와 칠면조, 과일, 채소, 옥수수, 콩 등 500여 가지 식품에 들어있는 철분의 양도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철분 결핍성 빈혈에 의한 사망은 증가했으며 심한 빈혈로 치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도 많아졌다. 특히 성별에서는 여성, 인종으로는 흑인들에게서 빈혈이 심했다.요즘에는 철분이 많이 들어있는 적색육 대신 닭고기를 대신 먹고 탄수화물이 낮은 식단을 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거기에 철분이 함유된 영양 강화(fortified) 곡물과 시리얼 섭취가 줄어들자 많은 이들에게 철분 결핍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연팀은 지적했다.철분에는 헴철(hem iron)과 비헴철(non-heme iron) 두 가지가 있는데, 헴철이 비헴철보다 몸에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다.헴칠은 적색육 같은 동물
2021-10-08 10:5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