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주지역 보이스피싱 피해액 120억원 넘어…건수↓ 피해액↑
지난해 제주지역에서만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 피해액이 120억원을 넘었다. 4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제주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는 326건으로 피해액은 12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2023년과 비교했을 때 건수는 15.5%(60건) 줄어들었지만, 피해액은 14%(15억원) 증가했다.연령별 피해자는 20대 이하가 21.2%, 30대가 8%, 40대가 20.2%, 50대가 27.3%, 60대 이상이 23.3%로 사실상 모든 연령대가 두루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고액 피해 사례를 보면 카드 고객센터나 금감원, 검찰을 사칭해 돈을 송금하도록 한 후 빼돌리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카드 대금 납입 계좌가 범죄에 연루돼 조사가 필요하니 계좌에 있는 돈을 송금하라'는 식이다.또한 '계좌 수사 과정에서 대출하지 못하도록 막았는데 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출을 받아보고 만약 대출이 되면 국고 안전계좌로 송금해야 한다'고 속여 대출을 실행시킨 사례도 있다.피해자를 속이기 위해 수사 기관 직원을 사칭하기 전 카드사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가 발급받지도 않은 카드가 발급됐다고 속이는 치밀함을 보이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경찰 관계자는 "수사 기관은 절대 계좌에 있는 돈을 송금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며 "보이스피싱 범죄를 뿌리 뽑는 날까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3-04 18:09:38
제주지역 상반기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아빠
제주지역의 올 상반기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아빠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고용보험가입자 가운데 올 상반기 육아휴직자 759명 중 남성은 전체의 25.1%(191명)로 파악됐다고 8일 밝혔다.도내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육아 맞돌봄 문화가 확산되고, 맞벌이가 보편화되면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최근 남성 육아휴직자 추이를 살펴보면 ▲2017년 96명(10.5%) ▲2018년 216명(18.3%) ▲2019년 307명(23.9%) ▲2020년 390명(27.6%) 등으로 나타났다.같은 기간 도내 전체 육아휴직자 수는 ▲2017년 909명 ▲2018년 1176명 ▲2019년 1283명 ▲2020년 1410명 등으로 집계됐다.도는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가 남성 육아휴직 활성화에 일조하는 것으로 분석했다.'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는 한 자녀에 대해 부모가 번갈아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번째 사용자에게 월 250만원 한도 내에서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는 제도다.이와 함께 2019년 10월부터 시행 중인 배우자 출산휴가급여를 통해 남성이 육아 돌봄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최명동 도 일자리경제통상국장은 “올 하반기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근로자들이 휴원·휴교·원격수업, 분반제 운영 등 자녀돌봄 문제 해결을 위해 관련 제도를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1-08-09 17:2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