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위해성 조사 '해외 직구 제품' 작년보다 2배 이상 늘린다
정부가 올해 해외 직접구매(직구) 제품 위해성 조사 대상을 작년의 2배 이상으로 확대한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15일 발표한 '2025년도 제품 안전성 조사 계획'에서 해외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위해 제품 유입을 막기 위해 직구 안전성 조사 대상을 작년 450개에서 1000여개로 늘린다고 밝혔다.국표원은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해서도 화재·사고 등 안전 우려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4700여개 제품을 조사할 계획이다.국표원은 안전성 조사를 통해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은 리콜 명령 조치를 통해 위해 제품의 시중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국표원은 올해 KC 미인증 등 불법 제품의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경찰청과 합동단속을 작년 2회에서 올해 4회 이상으로 늘리고, 지방자치단체와 합동단속을 작년 21곳에서 올해 24개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민간의 자발적 제품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조사 대상 온라인 플랫폼 업체는 작년 16곳에서 올해 20곳 이상으로 늘린다.국표원은 리콜 사업자에 대한 리콜 점검 강화, 온라인 플랫폼 업체와 협력을 통한 리콜 사실 소비자 직접 통보, 지자체·교육청 등과 협력 홍보 등을 통해 리콜 제품 재유통을 관리하기로 했다.진종욱 국표원장은 "올해 조사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제품 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15 12:38:33
'이 제품' 안전성 조사 기존보다 강화한다
정부가 어린이 제품, 생활용품 등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강화한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4년 제품 안전성 조사계획'을 시행한다. 올해 안전성 조사는 총 7차례에 걸쳐 시중에 유통 중인 4600여개 제품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이 중에서 리콜 적발률이 평균 이상이거나 사고·화재 발생 등 위해 우려가 높은 59개 품목은 중점 관리품목으로 지정한다. 또한 일반 관리품목보다 1.5배 이상 제품을 구매해 집중 조사한다.중점 관리품목은 보행기, 유모차, 아동용 이단 침대 등 어린이 제품 16개와 압력솥, 온열 팩, 산악용자전거 등 생활용품 19개, 전기장판, 등 전기용품 24개다.아울러 최근 3년간 미조사 품목으로 시중에 유통이 확인된 제품과 기업간거래 제품 등은 관심 품목으로 지정해 조사한다.또 온라인 시장 확대에 따라 온라인 판매·유통제품에 대한 조사 비중을 전체의 70% 이상으로 유지한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올해 안전성 조사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국민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안전한 소비생활을 위해 제품 구매 시 꼭 KC인증 마크 부착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01-29 16:1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