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환자·의사 인식 차이 반대였다
비대면 진료에 대한 환자와 의사 사이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공개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수행 실적 평가 연구'에서 연구진은 2023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최소 1회 이상 비대면 진료에 참여한 적이 있는 환자 1500명·의사 300명·약사 100명을 상대로 한 온라인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그 결과 환자 1500명 중 82.5%는 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와 비슷하다'(50.1%)거나 '대면 진료에 비해 불안하지 않다'(32.4%)고 답했다.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보다 불안하다고 평가한 환자 264명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기 때문'(72.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라는 응답도 23.9%였다.반면 의사는 비대면 진료를 대면 진료보다 불안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다수였다.의사 300명 중 80.3%는 '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보다 매우 불안하다'(14.3%)거나 '다소 불안하다'(66.0%)고 답했다.의사들은 불안하다고 느끼는 이유로 '청진 등이 제한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다'(77.6%)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18.3%)도 불안의 이유로 꼽혔다.연구진은 "환자와 의사 모두 비대면 진료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진단의 정확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고, 이는 진료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비대면 진료 시 환자와 의사 간 의사소통 개선과 진료 정확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의사가 비대면 진료에 만족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환자의 정확한 질병 관련 증상이나 불편함 표현 한계'(43.4%), '의료사
2025-02-23 17:32:44
내달부터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비대면처방 제한
비만치료제의 비대면진료 처방이 제한된다.29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다음 달 2일부터 비대면진료 시에 위고비를 포함한 비만치료제 처방을 제한한다고 전했다. 지난 10월 위고비가 출시된 이후 무분별한 처방과 불법 유통 가능성을 두고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비대면 진료 시 비만치료제 처방 제한은 관련 지침 개정을 통해 시행되며 이에 따라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은 비만치료제를 처방해선 안 된다.복지부는 다만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달 15일까지 2주간의 계도기간을 두고 제도 변경 사항을 안내할 계획이다.정부는 또 내년 상반기까지 전문가, 환자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비만 환자들을 위한 별도의 비대면 진료 제공 모형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4-11-29 15:1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