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환자·의사 인식 차이 반대였다
비대면 진료에 대한 환자와 의사 사이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공개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수행 실적 평가 연구'에서 연구진은 2023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최소 1회 이상 비대면 진료에 참여한 적이 있는 환자 1500명·의사 300명·약사 100명을 상대로 한 온라인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그 결과 환자 1500명 중 82.5%는 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와 비슷하다'(50.1%)거나 '대면 진료에 비해 불안하지 않다'(32.4%)고 답했다.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보다 불안하다고 평가한 환자 264명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기 때문'(72.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라는 응답도 23.9%였다.반면 의사는 비대면 진료를 대면 진료보다 불안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다수였다.의사 300명 중 80.3%는 '비대면 진료가 대면 진료보다 매우 불안하다'(14.3%)거나 '다소 불안하다'(66.0%)고 답했다.의사들은 불안하다고 느끼는 이유로 '청진 등이 제한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다'(77.6%)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원활하지 않은 의사소통(18.3%)도 불안의 이유로 꼽혔다.연구진은 "환자와 의사 모두 비대면 진료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진단의 정확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고, 이는 진료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비대면 진료 시 환자와 의사 간 의사소통 개선과 진료 정확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의사가 비대면 진료에 만족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환자의 정확한 질병 관련 증상이나 불편함 표현 한계'(43.4%), '의료사
2025-02-23 17:3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