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백 우려내면 ‘이것’ 수백만개 나온다…“유해성 주의”
티백에서 나오는 수백만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이집트 소하그 대학교,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 독일 라이프치히의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 팀의 이런 합동 연구 결과가 학술지에 실렸다.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폴리머 기반 상업용 티백을 따뜻한 물에 우려내면 수백만개의 나노 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이 흘러나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티백은 일반적으로 종이 재질로 만들어지지만, 폴리아미드(나일론)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틴산(PLA) 등과 같은 플라스틱이 사용되기도 한다.연구 결과가 게재된 국제 학술지 케모스피어에 따르면 연구진은 티백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 양을 측정하기 위해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3개 브랜드 티백을 실험했다.각각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셀룰로스 고분자로 제작된 티백이다.그 결과 티백의 소재에 따라 폴리프로필렌에서는 평균 136.7nm 입자가 mL 당 약 12억개, 셀룰로스에서는 평균 244nm 입자가 약 1억 3500만개, 나일론에서는 평균 138.4nm의 입자가 약 818만개 확인됐다.가장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티백으로 차 한 잔(100mL)을 우려낼 경우 한 잔에서만 약 1200억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고 추정할 수 있다.연구진은 이어 플라스틱 입자를 염색해 인간의 장 세포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 그 결과 점액을 생성하는 장 세포가 미세·나노플라스틱을 가장 많이 흡수했고, 이 중 일부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세포핵까지 침투했다.즉 티백에서 나온 엄청난 수의 미
2025-01-15 09:56:43
"면수 다시 쓰지 마세요"...중금속 노출 줄이려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일상에서 중금속 노출을 피하기 위한 주의사항을 소개했다. 유해 중금속은 체내에 들어오면 날 빠져나가지 않아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식약처는 생활 속 유해 중금속인 납·비소·카드뮴 등은 일반적으로 물에 잘 녹는 성질이 있어 식품 조리 시 주의사항을 잘 지키면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전했다.식약처는 우선 차를 우릴 때 사용하는 티백을 뜨거운 물에 오래 담가놓지 않을 것을 권고했다. 티백이 물에 담긴 시간이 길어질수록 중금속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따라서 티백은 2~3분 우려내고 건져내야 함, 특히 녹차·홍차 티백은 98도에서 2분간 우려내는 것이 10분 침출하는 것에 비해 카드뮴, 비소량이 현저히 적었다.면류를 삶을 때도 유의할 점이 있다. 면 삶을 물을 충분히 넣어야 하고, 남은 면수는 재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게 좋다. 끓는 물에 국수를 5분 삶으면 카드뮴 85.7%, 알루미늄 71.1%를 제거할 수 있고, 당면은 10분 이상 삶으면 납 69.2%, 알루미늄 64.6%를 없앨 수 있다.음식에 톳을 이용할 때는 생톳의 경우 5분간 끓는 물에 넣어 데쳐야 한다. 건조된 톳은 30분간 물에 불린 다음 30분간 삶는 것이 좋고, 불리거나 삶을 때 사용한 물은 버려야 한다. 이같이 톳을 물에 불리고 데치기만 해도 무기비소를 80% 이상 줄일 수 있다.중금속 농도가 높은 생선 내장은 되도록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임신·수유 중인 여성은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을 일주일에 400g 이하로 섭취해야 한다. 만 1~2세는 일반어류와 참치통조림을 일주일에 100g 이하로 섭취하고, 3~6세는 150g 이하로, 7~10세는 250g 이하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조리에 처음 사용하는 금속제 식품 기구나 용기는 식초
2024-08-08 11:50:06
잎은 되고 꽃은 안 된다? 식약처에 딱 걸린 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최근 금화규 꽃과 줄기를 원료가 들어간 제품이 판매된다는 소비자 신고를 접수해 조사한 결과, 제조업체 등 4곳을 적발해 고발 조치했다고 22일 밝혔다.식약처는 위반제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 지난달 26일부터 지난 8일까지 식품 제조·가공 업체와 즉석판매제조·가공업체 등 9곳에 대해 특별 점검에 나섰다.금화규(일명 닥풀)는 식물의 잎을 식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꽃과 줄기는 식재료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아 식품의 재료로 쓸 수 없다. 하지만 이번에 적발된 업체들은 금화규 꽃을 물에 우려서 마실 수 있는 티백 형태의 제품을 만들어 판매했고, 식품 제조·가공업체 1곳은 줄기와 잎을 사용한 동결건조 분말을 제조 및 판매했다.현재 해당 업체가 보관 중인 위반 제품은 전량 폐기될 예정이다. 식약처는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에게 섭취를 즉시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할 것을 당부했다.식약처는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안내하며, 식품 구입 전 식용이 가능한 원료인지 확인할 것을 권했다.김주미 키즈맘 기자 mikim@kizmom.com
2024-03-22 12:0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