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하는 보이스피싱 피해액…이런 단어 조심해야
올해 1∼3월 보이스피싱 범죄는 5878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17%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경찰청에 따르면 전체 피해액(3116억원)과 건당 피해액(5301만원)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배, 2.8배로 증가했다.기관 사칭형 범죄는 전체의 절반을 넘은 2991건(51%)이었다. 디지털 수법에 취약한 50대 이상 피해자 비중도 53%로 높았다.경찰청은 "카드 배송이나 사건조회, 대출신청 같이 피해자에게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본격적 시나리오는 휴대전화 악성 앱 설치로 시작된다"고 경고했다.악성 앱을 통해 탈취된 개인정보는 범죄 조직으로 넘어간다. 이를 토대로 실제 존재하는 공공기관인 척하면서 피해자의 심리를 위축시킨다. 명의도용 사건에 연루된 것처럼 속여 신규 휴대전화를 구매하게 한 뒤 검열이 필요하다며 원격 제어가 가능한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또한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배송돼 문의하면 명의도용이 의심된다면서 소비자보호원에 신고하도록 안내한 뒤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기도 한다.이외에도 부고 문자, 범칙금 통지, 건강검진 진단서 송부, 카드결제 해외승인 등 미끼 문자메시지를 보내 악성 앱 설치를 위한 링크 접속을 유도한다.경찰청이 실제 악성 앱 서버를 확인할 결과 이들은 정교하게 구성된 가짜 페이지를 이용해 피해자의 이름, 전화번호, 휴대전화 기종, 통신사 등 기본 정보를 비롯해 통화내용 녹음, 원격제어 및 피해자 실시간 위치정보까지 확인했다.금융감독원·검찰·경찰 등이 실제 사용 중인 전화번호 80여개도 이용했다.피해자가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면 범죄조직이 쓰는 번호로 연결되거나, 범죄 조직이 발신
2025-04-27 17:4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