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 '이 유형' 늘었다
보이스피싱 범죄 유형 중 카드 배송원을 사칭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남경찰청이 지난해(1∼11월) 도내에서 536건의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해 174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22일 밝혔다.2021년 1056건·220억원과 비교해 줄어들었지만, 2022년 521건·107억원, 2023년 597건·123억원보다 피해 규모는 늘었다. 지난해 보이스피싱 범죄는 대출 빙자형이 349건이었으며 기관 사칭형은 187건으로 분류됐다.기관 사칭형 피해는 2023년 20대 이하 비중이 77%로 가장 많았으나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인 36%로 대폭 감소했다. 반면 50대 이상 피해자 비중은 2023년 13%에서 지난해 49%로 증가했다.범죄 방식은 카드 배송원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 대응센터에서 접수한 '카드 배송 사칭' 관련 신고는 지난해 11월 6619건으로, 이는 2023년 11월에 발생한 88건보다 크게 늘어난 숫자다. 카드 배송 사칭 범죄는 피해자 명의 카드 신청이 접수됐다며 연락해 범죄 조직이 만든 고객센터로 전화할 것을 유도한다. 이후 가짜 상담원은 명의도용 여부를 확인한다며 피해자 휴대전화에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게 한 뒤 몰래 악성 앱을 깔아 휴대전화 속 정보를 빼 간다.경찰 관계자는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가 발급됐다는 연락은 모두 가짜"라며 "이 같은 연락을 받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112로 신고하면 된다"고 말했다.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1-23 11:31:16
"엄마, 신분증·계좌·비밀번호 좀" 사칭 문자로 돈 뜯은 20대
자녀인 척 문자메시지를 보낸 뒤 피해자 휴대전화에 원격 제어 앱을 설치하는 수법으로 돈을 가로챈 전화금융사기범이 실형을 선고받았다. 광주지법 형사10단독(부장판사 나상아)은 컴퓨터 등 사용사기와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24세 A씨에게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했다고 20일 밝혔다. A씨는 금융사기단의 세탁책으로 활동하면서 지난해 7월 30일부터 10월1일 사이 피해자들에게 "엄마, 나 휴대전화가 고장 나 수리를 맡겼어", "보험금 청구해야 하니 신분증, 계좌, 비밀번호를 보내줘"라는 내용의 자녀 사칭 문자를 발송했다. 그 후 악성 앱 링크를 보내 휴대전화를 원격 제어, 피해자의 예금 잔액을 가로챈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같은 기간 일회용 가상계좌를 이용해 총 23차례에 걸쳐 상품권을 현금화하는 방법으로 금융사기단이 1억 3,611만 원의 재산상 이득을 취하는 데 공모한 혐의도 적용됐다. 금융사기단은 악성 코드가 설치된 원격 조정 앱을 피해자들 전화에 설치하게 한 뒤 발신 전화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판부는 "A씨가 가담한 메신저피싱 수법은 자녀를 사칭해 부모인 피해자 24명으로부터 돈을 가로챈 것으로 죄질이 매우 나쁘다"며 "사회적 폐해가 심각해 엄벌할 필요성이 있어 실형을 선고한다"고 판시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23-06-20 17:4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