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교육청, 초등생 1·2학년 한글 교육시간 대폭 확대
광주광역시교육청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오는 3월부터 초등학교 1·2학년 한글교육 시간을 기존 27시간에서 68시간으로 두 배 이상 늘려 운영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는 초등학교 입학 전 사교육을 통한 한글교육의 부담을 덜고 한글 모음과 자음부터 체계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조치로, 광주시교육청은 이번 교육과정 변화가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준비에 나섰다.교육청은 우선 25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되는 '2019학년도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한글책임교육 역량강화 연수'를 광주광역시학교시설지원단에서 시작한다.광주 전체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700여 명이 참여한 이번 연수는 한글 읽기와 쓰기 지도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마련됐으며 참여 교사들은 한글교육 지도 사례 발표를 통해 한글교육 우수사례를 공유한다.또한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한글을 교육하고 교사 연수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똑똑 글자놀이’라는 초등학교 한글책임교육 보조자료를 학생용과 교사용으로 나눠서 자체 개발했다. 시교육청 교육과정팀 박철영 장학관은 "이번 한글책임교육 연수뿐 아니라, 앞으로 진행되는 ‘찾아가는 현장 맞춤형 연수’ 및 ‘한글책임교육 직무연수’ 등을 통해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한글지도 역량이 강화되고 이를 통해 학교에서의 한글책임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진경 키즈맘 기자 ljk-8090@kizmom.com
2019-02-25 13:49:49
우리 아이 한글 학습, 적기는 언제일까?
지난해부터 초등학교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학교에서 한글을 깨우치게 하는 ‘한글 책임교육’이 시작됐다. 한글을 모른 채 입학했다고 전제하고 연필 잡기부터 자음과 모음 쓰기 등 기초부터 가르치는 것이다. 하지만 학부모들은 여전히 ‘한글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서 지난해 초등학교 1학년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143명의 81.8%가 ‘수학 등 다른 과목 교과서와 보충자료에 글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이 있어 한글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한 교육 전문 브랜드 길벗스쿨이 학부모 카페 회원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초등학교 입학 전 한글 떼기’에 관한 설문에서도 응답자의 99%가 초등학교 입학 전 한글 학습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이처럼 대부분의 학부모가 선행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한글 공부’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물론 가장 이상적인 것은 시기를 정해 애써 가르치지 않아도 부모의 그림책, 동화 읽어주기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아이가 이미 한글과 친숙해져 있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은 글자에 대한 호기심을 빨리 드러내게 되고, 네다섯 살만 되어도 학습지나 교구 없이 그림책만으로 스스로 한글을 떼기도 한다. 아이 음성언어가 완성되는 시기가 적기한글 공부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건 아이 스스로 글자를 읽고 싶어 하는 마음과 음성 언어의 완성이다. 음성언어가 충분히 발달한 아이는 글자를 읽고 그 의미를 알지만, 그렇지 못한 아이는 글을 읽어도 소리만 낼 뿐 의미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2018-05-29 15:17:59
신기한나라TV, 케이블TV 이어 IPTV 채널 진출
이번 달 초 케이블TV 채널 딜라이브와 HCN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신기한나라TV'가 다음 달 1일부터 CJ헬로(146번), 서경방송(500번) 채널에서도 방송된다. 또한 IPTV에서도 '신기한나라TV'를 만날 수 있도록 오는 29일에는 LGU+(147번) 채널을, 2월 1일에는 SK브로드밴드(188번) 채널을 오픈할 예정이다.'신기한나라TV'는 새롭게 오픈하는 방송플랫폼 4개사마다 2월 한 달간 오픈 기념 무료시청 이벤트를 진행한다.신기한나라TV 관계자는 "엄마 마음을 그대로 담아, 안전하고 건강한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며 "더 많은 아이들이 신기한나라TV를 만날 수 있도록 방송플랫폼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신기한나라TV'는 영유아교육 전문기업 한솔교육과 국내 최초 VOD 서비스 사업자인 '케이블TV VOD'가 함께 만든 유아 전문 프리미엄 채널이다. 한솔교육의 30여 년 유아교육 노하우를 바탕으로 어린이의 성장단계마다 필요한 정보를 영역별 교육 프로그램으로 제작·제공한다.뿐만 아니라 유아교육 전문가들이 엄선한 영국 BBC의 키즈 콘텐츠, 국내 인기 있는 동요, 동화 콘텐츠 등을 함께 편성해 기존 키즈 채널과 다른 프리미엄 채널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상업광고와 자극적인 유해 콘텐츠를 배제해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신기한나라 TV'의 특징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18-01-26 11:17:49
아이 언어능력자 만들기는 부모에게 달렸다
언어능력이 좋은 아이는 또래보다 앞선 출발점에 서 있다. 표현력과 공감 능력, 자존감이 뛰어나기 때문이다.우선, 언어능력이 우수한 아이는 표현력이 좋다. 이는 자기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자신감과 직결된다. 하고 싶은 말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떼를 쓰거나 답답해하지 않으며 좌절감을 느끼지 않는다. 소통이 원활해 상대방과의 불화도 적어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공감 능력은 아이가 생각을 쉽게 언어화할 수 있기에 발현 가능하다. 언어 능력이 우수하면 생각을 정리하고 구체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대방의 생각과 감정도 느낄 수 있다. 또한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아이는 자존감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다. 말을 잘 하므로 주변에서 아이에게 집중하는 순간이 늘어나고 이는 아이가 주목받을 기회가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누군가가 자신을 바라보고 신경쓰고 있다는 것을 아이가 인지하는 순간 자존감이 커진다. 이처럼 풍부한 언어구사력을 갖고 있으면 아이 성장에 여러모로 도움이 된다. 그래서 부모들은 열성적으로 언어교육에 뛰어든다. 하지만 무턱대고 언어를 가르치기보다는 아이의 언어발달 수준을 진단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 0~6개월은 ▲소리가 들리는 쪽을 바라본다 ▲아이가 울고 있을 때 말을 걸면 울음을 멈춘다 ▲ 눈을 마주치면 웃거나 기분 좋은 소리를 낸다 등의 항목에서 '그렇다'는 답변이 나와야 한다. 만2~3세는 ▲사물을 말할 때 대명사보다는 이름을 사용한다 ▲ 크기를 나타내는 낱말을 이해한다 ▲ 시간을 나타내는 초보적인 낱말을 표현한다. 만4~5세는 ▲ 사동과 피동의 개념을 알고 사용
2017-11-22 15:3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