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풀리는 '향초', 실내 공기질 확 나빠질수도...잘 쓰려면?
불을 붙여두면 향을 내며 서서히 타오르는 '향초'는 인기있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특히 조용한 공간에 향초를 켜 두면 은은한 향기로 심리적인 안정감, 스트레스 해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실내 악취도 사라진다.그러나 이런 향초는 피울 땐 반드시 환기에 유의해야 한다.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급격하게 높일 수 있어서다. 9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따르면 세명대 보건바이오대학 보건안전학과 양진호 교수 연구팀은 실내에서 향초를 태울 때 생기는 입자상 물질의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밝혔다.연구팀은 주택에 향초를 켠 다음, 촛불을 켠 곳, 3m 떨어진 곳, 6m 떨어진 곳에서 각각 공기 샘플을 수집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 농도를 쟀다. 또 향초를 피운 후 실내 미생물 군집 구성의 변화를 조사했다.그 결과 향초를 태운 지점의 30분 후 미세먼지 농도는 향초를 태우기 전보다 1.5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지점의 미세먼지 농도는 30분이 지난 후부터 점차 감소해 연소 전보다 낮아졌다.초미세먼지와 극초미세먼지도 10분 이내에 최대 수준의 농도로 높아졌다가 그 이후 향초를 태우기 전 수준으로 내려갔다.그러나 문제는 3m, 6m 떨어진 지점의 공기 질이었다. 3m 지점의 경우 향초를 켠 지 10분이 지나자 미세먼지 농도가 최고치(42.8㎍/㎥)를 기록했고, 향초가 켜져 있는 동안 계속해서 높은 수준의 농도를 유지했다.초미세먼지와 극초미세먼지도 30분이 지나면서 각각 31.1㎍/㎥(1.62배), 28.8㎍/㎥(1.97배)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미세먼지처럼 농도가 떨어지지 않았다.6m 지점 상황도 3m 지점과 비슷했다. 미세먼지 농도
2025-04-14 15:5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