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악영향 '여기'까지 손길
저출생 현상 중 하나로 헌혈 참여자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6일 대한적십자사의 2024년 혈액사업 주요통계와 통계청 혈액정보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 헌혈 건수는 285만5540건이다.국내 헌혈 건수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261만 건)과 2021년(260만 건) 급감했다가 2022년 265만 건, 2023년 278만 건 등으로 3년 연속 회복세다.그러나 헌혈에 한 차례 이상 참여한 실인원은 2022년 132만7587명, 2023년 130만774명, 2024년 126만4525명으로 감소하고 있다.현재 헌혈이 가능한 나이는 16세부터 69세까지다. 작년의 경우 우리나라 헌혈 가능 인구 가운데 3.27%만 헌혈에 참여했다. 2014년엔 이 비율이 4.43%였다.헌혈자 1인당 평균 헌혈 실적은 2014년 1.8회였으나, 2020년부터는 2.0회를 넘어서 작년엔 2.26회를 기록했다.연령대별로 보면 지난해의 경우 전체 헌혈 건수 중 35.5%가 20대가 한 것이었고, 16∼19세 19.3%, 40대 16.9%, 30대 15.9%, 50대 10.4%, 60세 이상 2.1% 등이다.10년 전과 비교해보면 30대 이상은 건수와 비중이 모두 늘었으나 10∼20대의 헌혈 건수는 크게 줄었다. 저출생으로 10∼20대 인구 자체가 줄어든 데다 헌혈 등 개인 봉사활동 실적이 대입에 반영되지 않도록 제도가 바뀐 영향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한편 지난 5일 기준 혈액 보유량은 5.0일분으로,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25-04-07 12:4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