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와인, 암 예방한다? 잘못된 '통념' 와장창..."화이트와인과 다를 것 없어"
레드 와인은 다른 술보다 건강에 유익할 것이라는 통념이 있지만,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의 건강상 이점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레드가 화이트보다 나은 점은 없다는 것이다.이런 연구 결과는 영양학 저널(Nutrients)에 게재됐다.미국 브라운과 하버드 대학 연구팀은 레드·화이트 와인이 암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22건의 환자-대조군 연구 및 20건의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하며 9만5000건의 암 사례를 확인했다.그 결과 레드 와인을 가장 많이 마신 사람들의 암 위험 지수는 가장 적게 마신 사람들에 비해 0.98이었고, 화이트 와인을 즐기는 사람들은 1.00점으로 나타났다. 두 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수준이다.암 종류별로 레드·화이트 와인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화이트 와인은 피부암 위험을 22%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두 와인 모두 여성의 유방암 위험을 비슷한 정도로 높였다.또 코호트 연구만을 놓고 보면 화이트 와인은 암 발생 위험을 높였고, 레드 와인은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밖에 음주량에 따른 암 위험의 상관관계를 살핀 결과, 레드 와인은 매일 한 잔(에탄올 10g)을 추가로 섭취할 때마다 암 위험이 5% 증가했지만, 화이트 와인은 뚜렷한 연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연구진은 이런 결과를 종합해 레드 와인과 화이트 와인이 암 위험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은 비슷하며, 레드 와인이 더 건강에 좋다고 보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그렇다면 레드 와인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통설이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 레드 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적포도 속 '폴리페놀' 때문이다. 폴리페놀 중에서도 레스
2025-03-26 16:09:40
수입 와인, 다양성 '만족'·가격 '글쎄'
수입 와인이 영역을 꾸준히 넓히면서 소비자들이 수입 와인의 선택 다양성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19일 한국무역협회 통계 자료를 인용해 2012년 1억4726만 달러에서 2016년에는 1억9145만 달러로 와인 수입액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한국소비자원이 수입와인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대 이상 소비자 1000명에게 설문조사를 요청한 결과 '선택다양성 만족도'가 5.26점(7점 만점 기준)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품질 만족도' 4.71점, '가격 만족도' 4.69점이 뒤를 이었다. 수입 와인의 원산지는 기존 칠레·프랑스·이탈리아·미국 등에서 호주·스페인으로 확대됐으며, 레드와인 뿐만 아니라 화이트와인, 발포성와인(스파클링와인) 등 종류도 늘어났다.용량 및 포장 용기도 750mL 병 위주에서 소용량의 파우치·컵·캔 및 2L 이상의 대용량 용기로 다양해졌다. 가격도 1~10만원까지 있어 여러 측면에서 수입 와인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하지만 다른 품목과 비교했을 때 수입가격과 판매가격에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돼 아쉬움을 안겼다. 레드와인은 평균 11.4배, 화이트와인은 평균 9.8배로 다른 품목(생수 6.6배, 오렌지 주스 2배)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판매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이유는 세금 외에도 운송 및 보관료, 임대료 및 수수료, 홍보 및 마케팅 비용, 유통마진 등의 유통비용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부처에 이와 같은 내용을 전달하고 유통구조 개선을 요청할 예정이다.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kizmom.com
2018-02-20 10: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