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에 막이 생기며 구겨지는 질환 '이것'
노인성 안질환의 일종인 망막전막은 매끈한 곡선 형태인 망막에 없어야 하는 막이 생기며 이 망막이 구겨지는 질환이다. 인구 1000명 중 1명에게 나타날 정도로 드물지 않은 발병률을 보이며, 주로 시력의 90%를 좌우하는 황반 부위에 발생한다.망막전막은 50대 이후부터 발생률이 증가하며, 원인은 대부분 알 수 없다. 다만 노화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나이가 들면서 눈 속을 채우고 있는 젤리 같은 유리체가 망막에서 떨어져 나가고, 이 과정에서 망막전막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 외에는 눈의 염증, 당뇨, 망막정맥폐쇄 등이 2차성 망막전막의 원인이 될 수 있다.대표적인 증상은 시야가 흐리거나 일그러져 보이는 ‘왜곡시’가 나타난다. 직선이 휘어져 보이고 시력이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을 수도 있다.망막전막의 특징은 이러한 증상들이 시간이 지나며 점점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진행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 충혈과 통증 없이 시력의 변화만 나타나기 때문에 눈을 한쪽씩 가리며 자가검사를 해봐야 한다. 망막전막은 초기에 증상이 미미하거나 경미한 경우 경과 관찰만 한다. 하지만 망막전막으로 인해 시력 저하나 심한 왜곡이 생기는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경우 수술적 치료인 유리체절제술, 망막 전막 제거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유리체절제술은 눈 속 유리체를 제거하고 섬유성 막을 직접 제거하는 수술이다.만약 백내장이 있으면 동시에 수술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망막전막은 백내장 수술과는 달리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편이며 6개월 정도에 걸쳐 조금씩 호전된다. 강민재 세란병원 안과센터 과장은 "망막전막은 뚜렷한 원인이 없
2025-04-24 17: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