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Total News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 생존율, 혈연 수준으로 높여

입력 2011-04-27 09:36:13 수정 20110427093613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타인간(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중증 재생불량성빈혈(난치성 질환)’ 환자의 5년 이상 장기생존율을 혈연간(형제간) 조혈모세포이식을 했을 경우와 동일한 수준으로 높이는 임상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실,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의 장기생존율은 40~60%로, 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의 80~90%에 절반에 불가해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종욱·조병식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교수팀(혈액내과)은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방사선치료 및 면역억제제의 독자적인 이식전 처치기법을 이용해 장기생존율을 88%로 높였다.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간에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 시, 조혈모세포이식으로 대부분 치료하며, 혈연이 아니더라도 조직적합성항원이 맞는 경우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하기도 한다.

하지만 타인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이식 후 거부반응 및 합병증 등으로 40~60%의 저조한 장기생존율을 보여, 대부분 면역치료 후 실패하는 경우에 실시했었다.

이종욱 교수팀은 2001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1차 면역치료에 실패한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전처치기법을 이용하여 비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했다.

이 교수팀이 개발한 전처치기법은 전신방사선조사(800 cGy)와 싸이클로포스파마이드(120mg/kg, 항암제)를 이용해 조혈모세포이식 전에 실시한다.

그 결과 88%(50명 중 44명)에서 거부반응 없이 5년 이상의 장기생존율을 보였다.

특히, 환자군의 대부분이 이식 성적에 불량한 인자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진단 후 3년 이상 지나 이식을 시행 받았으며(평균 48개월), 이식 전 수혈양이 평균 64units로 많았던 것을 고려하면 굉장히 고무적인 결과다.

이번 연구는 타인간의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실시해도 혈연간 이식과 같은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것이다.

한편, 재생불량성빈혈은 혈액을 만드는 골수 속의 조혈모세포가 부족해서 혈액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 난치성 혈액질환이다. 국내 재생불량성 빈혈의 유병률은 인구 100만 명당 5.1명으로 유럽의 2명보다 2~3배 이상 높다.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는 혈연간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치료하지만 형제간에 조혈모세포의 조직적합성항원(HLA)이 일치할 확률은 25~30%다.

타인간 조혈모세포이식은 1996년 국내 처음으로 시행된 이래 급성골수성백혈병(27.5%), 급성림프구성백혈병(23.4%), 만성골수성백혈병(21.5%), 중증재생불량성빈혈(12.4%), 골수이형성증(8.1%) 등 난치성 혈액질환 치료에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한경닷컴 키즈맘뉴스 김연정 기자(kyj@kmomnews.com)

[키즈맘뉴스 BEST]

· 어린이 안전사고, 장난감총 BB탄 ‘가장 위험’
· 능력자 김종국 하하네 막창집서 알바 취직
· 박예진, 박희순 열애 인정 ‘좋은 만남 하고 있어요’
· 남자의 자격 이정진 하차에 '전현무' 투입
· 우리아이, ‘함박웃는아이 모델’에 도전하세요


입력 2011-04-27 09:36:13 수정 20110427093613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