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Health

협심증 진료환자 중 87%가 50대 이상

입력 2011-10-17 14:00:33 수정 20111017140126
  • 프린트
  • 글자 확대
  • 글자 축소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협심증(I20)’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2006년 43만 9천명에서 2010년 51만 2천명으로 연평균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2006년 22만 8천명에서 2010년 27만 6천명으로 연평균 4.9%가 증가하였고, 여성은 2006년 21만 1천명에서 2010년 23만 6천명으로 연평균 2.9%가 증가하였다. 협심증으로 진료 받은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2%p 높았다.


전체 협심증 환자 중 연령대별 협심증 환자 비중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동안 60대의 비중이 30%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50대가 23%~24%, 70대가 20%~25.7%였다. 50대 이하의 환자 비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으나, 60대 이상 환자 비중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특히, 60대 이상 환자의 비중은 2006년 55.5%에서 2010년 63.9%로 8.4%p가 증가하였다. 협심증 환자 중 50대 이상의 환자의 비중은 2006년 79.6%에서 2010년 87.0%로 분석되었으며,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협심증’의 정의, 주요특징 및 예방법 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협심증의 정의 및 원인

협심증은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반이 침착되어 혈류를 차단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해지면 심근경색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협심증의 원인으로서는 흡연,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이 대표적이며, 당뇨병, 비만도 중요한 원인이 된다.


□ 협심증의 주요 특징

협심증의 주요한 증세로는 운동이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흉통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 흉통이 왼팔쪽으로 방사되기도 하고, 목을 당기는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

또한, 호흡곤란으로 오기도 하고, 고령층에 있어서는 호흡곤란과 함께 소화불량처럼 증세가 올수도 있다. 이러한 증세는 안정하거나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으로 없어지게 된다.

또한, 여성에 있어서는 이러한 전형적인 증세도 있지만 두근거림, 불안감, 위장장애등의 비전형적인 증세도 나타날 수 있다.

□ 남성이 여성에 비해 진료환자가 많은 이유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전에는 여성호르몬의 분비로 인하여 심혈관질환의 보호효과가 있으나, 남성은 이러한 보호효과가 없이 위험인자에 노출시 동맥경화증의 가능성이 많고, 흡연, 비만증을 포함한 대사성증후군의 환자가 남성에 많이 나타나는 것도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협심증은 여성에 비하여 젊은 연령에서부터 나타나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 특히, 중년여성 및 고령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이유

상기한 바와 같이 중년여성이 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기 때문에 위험인자에 노출시 동맥경화증의 발생이 남성과 같아져 협심증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그 발생은 노년기에 갈수록 점차 증가되고, 고령자가 되면 신체의 노화와 함께 혈관의 노화도 같이 일어나고, 여러 가지 위험인자들이 장기적으로 협심증을 더 악화시키기 때문에 중년 여성및 고령자에서 협심증의 발생빈도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중년 여성의 경우 협심증증세가 전형적인 흉통도 있지만 두근거림, 호흡곤란, 불안증세와 같은 비전형적인 증세가 자주 나타나고, 무증상 협심증의 경우도 많아 진단이 늦어지기 때문에 남성협심증에 비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 협심증의 예방법

협심증의 원인이 동맥경화증이기 때문에 이의 예방이 중요하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한데, 저염식, 적게 먹기, 저지방섭취, 야채섭취와 같은 식이요법, 일주일 3회이상 30분이상의 운동요법을 포함한 생활요법이 중요하다.

흡연자는 절대로 금연하여야 하며,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생활요법과 함께 항고혈압제를 투여하여 적정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년이후에는 이상지질혈증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지혈증제제를 복용하여야 한다.

당뇨병의 경우에도 생활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꾸준히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당뇨병의 경우 무증상 협심증의 발생빈도가 높으므로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이밖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위험인자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하여 위험인자를 조기에 발견 하고 이를 통하여 위험인자의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협심증의 예방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경닷컴 키즈맘 뉴스 이상화 기자 (lshstory@kmomnews.com)

[키즈맘뉴스 BEST]

· 올 가을 복고 열풍 속 도트가 뜬다!
· 옥션, 햅쌀 출시 기념 무료 증정 이벤트
· 스티브 잡스가 택한 ‘터틀넥’의 스마트한 매력
· 20~30대도 잘 모르고 쓰는 생리대?
· 아웃백과 ‘카톡 친구’해볼까? 음료 쿠폰은 ‘덤’

입력 2011-10-17 14:00:33 수정 20111017140126

  • 페이스북
  • 엑스
  • 카카오스토리
  • URL
© 키즈맘,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