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후 결혼하는 재혼 가정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재혼 인구는 남녀 각각 4만8948명과 5만4320명이었다. 2014년에는 4만7516명과 5만3927명, 2015년에는 4만6388명과 5만2747명으로 해마다 수치가 늘어났다.
두 번째 가정을 화목하게 만드는 일은 쉽지 않다. 특히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아이가 이전 가정에서 부모의 불화를 목격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트라우마가 남아 있을 수 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살던 가족이 하나가 되려면 일정한 수순을 밟아야 한다.
◆ 재혼 가정에서 지켜야 할 4단계 법칙
1. 관찰
처음에는 간단한 식사와 인사로 자리를 마무리한다. 이후 하루 동안 같이 지내고 그 다음은 주말을, 여행을 함께 하며 서로를 관찰한다.
2. 방지
한 집에 모여 살면서도 서로의 개인생활을 침해하는 행위는 방지해야 한다. 새아빠와 새엄마가 각각 데려온 형제 혹은 자매에게 같은 방을 사용하라고 강요하면 아이들은 가족애를 느끼기도 전에 적개심을 품기 쉽다.
3. 정리
재혼한 부부는 본인들은 물론 아이들에게도 각자의 역할과 질서를 부여해 가족 간 혼잡을 최소화해야 한다. 아이가 새아빠나 새엄마를 골탕먹이는 행동을 했을 때 그냥 넘어가면 갈등이 커진다. 가정 내에서 각자의 역할을 분명히 정리해야 책임감이 생기며 스스로를 가족의 일원으로 여긴다.
4. 개입
아이들은 온전히 자신만 받는다고 생각했던 사랑을 타인과 나눠야 할 때 크게 동요한다. 동생이 생겼을 때가 대표적인 예다. 이럴 경우 친부모가 방관자로 남아선 안 된다. 공평하게 대하겠다는 생각으로 중립만을 고집하면 아이의 적개심을 키울 수 있다.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줘야 원만한 재혼 가정을 만들 수 있다.
◆ 행복한 재혼 가정 만들기 5계명
1. 죄책감에서 벗어나야 한다.
친부, 친모로부터 아이를 떼어놓아 죄책감을 느끼는 부모가 많다. 하지만 전(前) 배우자와 애정 없는 결혼생활을 유지했다면 아이들이 더욱 불행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새로운 배우자를 만나 훨씬 더 행복하고 즐거운 마음을 아이에게 드러내도록 한다.
2. 재혼 부부의 애정표현은 사적인 공간에서 한다.
아이는 아빠(혹은 엄마)가 새엄마(혹은 새아빠)라고 하는 낯선 사람과 애정표현을 할 때 혼란스러운 감정을 느끼고 불편해한다. 새로운 가정을 형성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애정표현보다는 가족생활의 안정화에 중점을 둬야 한다.
3. '마법의 종이'를 활용한다.
부모가 재혼하면 아이는 부재한 부모의 편을 들어야 한다는 의무감을 느낀다. 새로운 아빠와 엄마를 부정적으로 보기 쉽다. 종이에 새아빠 혹은 새엄마에게 갖는 생각을 적게 하는 방법은 새로운 배우자가 아이에게 어떤 이미지인지 알아본 뒤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4. 아이에게 친부모와의 관계가 여전함을 확인시켜준다.
새로운 환경을 불안해하는 아이에게 친부모가 여전히 너를 사랑하며 만나고 싶으면 언제든 만날 수 있다는 점을 인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새로운 배우자에게는 ‘새로운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부여한다. 친아빠, 친엄마의 역할을 대체하는 존재라고 말하면 아이는 떨어져 있는 친부모를 배신한다고 생각해 엇나가는 행동을 한다.
5. 아이에게 심한 요구를 하지 않는다.
아이에게 새로운 배우자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착한 아이가 되라고 강요하면 안 된다. 아이 입장에서는 본 지 얼마 안되는 사람을 친부모처럼 대하라는 것이 지나친 요구일 수밖에 없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해야 새로운 배우자와 아이 사이의 감정이 상하지 않는다. 이는 재혼 가정의 모두에게 해당된다.
참고=<프랑스 엄마처럼 똑똑하게 야단쳐라>(아름다운사람들), <가족심리백과>(시공사)
김경림 키즈맘 기자 lim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