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픽사베이
영유아 자녀를 둔 직장인은 한 달 평균 34만원을 자녀 사교육비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의하면 7세 이하 영유아 자녀를 둔 남녀직장인 668명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 아닌 학습지나 학원으로 자녀 사교육을 시키고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5.5%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중 자녀에게 국어(47.7%) 사교육을 시키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수학(35.9%), 사고력‧창의력(33.6%), 영어(33.2%), 미술(28.3%), 태권도(18.8%), 음악(10.9%) 순이었다.
자녀의 성별에 따라 과목 선택도 달랐다. 남아는 국어(49.4%) 사교육 비율이 여아(45.9%)보다 높았으며, 태권도(24.7%)나 한자(10.8%) 교육 비중이 여아(각 12.3%, 8.9%)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반해 여아는 수학(39%) 사교육 비율이 남아(32.9%)보다 높았다. 이어 사고력‧ 창의력(34.9%), 영어(35.6%), 미술(30.1%), 음악(16.4%)의 비율이 남아(각 32.3%, 31.0%, 26.6%, 5.7%)보다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27%는 자녀 연령이 5세 일 때 사교육을 처음 시작했거나 시작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또한, 맞벌이 직장인은 35만원, 외벌이 직장인은 31만원을 자녀의 사교육비에 지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6세 자녀를 둔 워킹맘 김나연 씨는 "남편과 맞벌이를 하기 때문에 아이에게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며 "아이가 또래에 뒤처지지 않길 바라는 이유도 있지만, 언어 감각과 사고력 등이 발달하기 때문에 한글, 영어 등 학습지 위주로 교육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 픽사베이
이루리 키즈맘 인턴기자 yr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