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이 재밌기도 만만치 않다
. 무언가 배운다는 것이 재미없을 이유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지만 딱히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닌데도 말이다
.분명한 것은 학습에 대한
‘거부감
’은 선험적으로 부여 받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 언제부터
‘학습
’이라고 하면 어깨가 움츠러들고 배우는 고통에 대해 먼저 떠올리게 된 걸까
?'잘 한 것'에 대한 '칭찬'보다 '못한 것'에 대한 '벌'을 마땅히 받으며 '가르침'보다는 '지적'이 익숙했던 환경적 요인과 경험적 사고가 작동된 탓일지 모른다
.아이에게만은 재밌게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싶은 부모이지만 현실적으로 뾰족한 대안은 없다
. 요즘 우리 아이들의 영어 학습 풍경은 좀 달라졌을까
? 엄마 허리춤에 닿지도 않는 아이에게 한 손에는 외워야 할 단어장을 들려 종종걸음으로 노란 버스에 실어 보낸다
.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지만 더 나은 대안이 없기에 선택한 학습방법이다
.이런 획일화된 영어 교육에 염증을 느낀다면 창의적
, 정서적 활동적인 배움을 통해 즐거운 학습을 도모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프리미엄 영어교육 브랜드
‘바다나무
’를 살펴보자
. 영어교육의 새로운 솔루션이 되어준다
.
Kizmom.영어교육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었나홍콩에서 금융맨으로
14년간 지냈다
. 글로벌 시장에서 일하면서
, 학습으로서의 영어가 아닌 글로벌 인재로서의
‘소통의 도구
’로서의 영어의 중요성을 절감하며 자연스럽게 교육은 중요한 화두가 됐다
. 그러던 와중에 미디어 시장의 가파른 부상을 지켜보며 이를 접목한 영어 교육이 아이들에게 주게 될 효과에 대해 생각하게 됐고
, ‘우리의 미래를 위한 교육
(Education for Tomorrow)’이라는 비전을 가지게 됐다
. 최첨단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의 교육 패러다임에서 진일보한 영유아 교육 콘텐츠를 시작하게 됐다
.Kizmom.한국 교육 시장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미디어 강국답게 애니메이션 프로덕션 및 게임디자인이 훌륭하다
. 한국의 뛰어난 테크니컬을 기반으로 교육과 접목하여 영상 콘텐츠를 개발 및 제작하기에 최적의 기술과 인재를 갖췄다
. 한국은 교육 시장의 규모는 중국
, 인도 등에 비해서는 작지만
‘플래그십 마켓
(Flagship Market)’으로서 바다나무의 향후 성장 방향 설정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국가다
.Kizmom.바다나무 콘텐츠의 강점은 무엇인가현지 영어를 베이스로 영어권 문화의 감성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Pop스타일 애니메이션과
50년 이상 동시대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며 전해 내려오는 전통 동요
(마더 구스
)등을 활용한 교재를 통해 현지식 영어 구사능력을 키워준다
.바다나무 프로그램은 아이 스스로 책과 바다펜
, 애니메이션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영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 너서리 라임을 통해 영어 감각을 깨우는
▲바다라임
, 언어 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 단어와 숫자를 익히는
▲바다 지니어스 파운데이션 주제가 있는 어휘를 배우는
▲바다톡
100개 이상의 사이트워드 학습을 통해 문장 독해를 다지는
▲바다사운드 영어 읽기 완성
▲바다 리드까지 총
6단계 커리큘럼으로 이뤄진다
. 특히 바다나무는 디지털 기술과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등을 통해 재밌게 기초필수 어휘를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 Kizmom.교재와 교구는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지 궁금하다바다나무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영국
, 미국
, 한국
, 중국
, 싱가폴
, 스페인
, 프랑스 등
11개국
, 20억 명의 아이들과 함께 동일하게 배우는
‘진짜 현지 영어
’라는 장점이 있다
. 현지에서 사용하는 어휘와 영어식 사고를 바탕으로 하는 내러티브 등 진짜 영어를 고스란히 담기 위해 모든 이야기와 음악 작업 등은
LA에서 한다
. 미국에서 개발하고 만들어지는 것을 한국으로 가져와서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Kizmom.애니메이션과 애플리케이션을 교재 혹은 교구로 사용한다미디어와 학습을 중간 툴로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 강압적이고 거부감을 느끼는 상황 속에서는 아이가 학습을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 아이가 정서적으로 안정됐을 때
, 학습을 받아들일 수 있고 더 효과가 높다
. 바다나무는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사랑스러운 캐릭터들을 매개로 학습을 유도하고 끌어낸다
.
Kizmom.’접근’에 대해 많은 고심이 느껴진다.테크놀로지를 고심하는 것만큼 어떻게 아이에게 접근하고 학습효과를 이루어낼지 깊이 생각한다
. 이 모든 것에 선행되는 전제 조건은 아이가 재밌게 느끼는 것이다
. 아이의 연령에 따라
, 발달에 맞춰 자극을 주고 흥미를 불어 넣어줄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해줄 때
, 아이들이 학습적 능력이 향상된다고 믿는다
. 아이가 재밌을 때 영어에 대한 효과는 자연스럽게 증가한다
.Kizmom.러닝센터에 책상이 없는 게 인상적이다바다나무 러닝센터는 바다나무의 전 교재와 애니메이션
,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아울러서 아이들이 스스로 즐겁게 영어를 익힐 수 있는 공간이다
. 아이의 영어학습을 위해서는 단지 어휘를 익히는 것뿐 아니라
, 언어감각의 자극을 위한 다감각적 요소가 필요하다
. 가만히 앉아서 학습을 한다는 건 아이의 발달과 어울리지 않는 발상이라고 생각한다
. 아이의 발달에 따라 오감을 자극할 수 있는 활동의 위주의 커리큘럼을 설계한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 아이들은 역할 놀이
, 노래
, 아트앤크래프트
, 영어문화권에서 주로 하는 게임과 신체활동과 같은 다채로운 활동을 경험하며 정서적 상호작용을 느끼며 영어에 자연스럽게 노출된다
. 영어뿐 아니라 향후 학습을 위한 기초적인 발달을 위한 학습교재로 나아가는 것이 우리의 방향성이다
.Kizmom.학습에 대한 거부반응이 있는 아이들도 있다아이가 야채를 싫어한다고 해서 야채를 무조건 안 먹이는 게 아니라 야채를 먹을 수 있도록 돕지 않나
? 마찬가지다
. 아이가 하기 싫다고 해서 안 시키는 게 아니라 아이가 재미있게 받아들이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야채를 거부하는 아이들을 위해서 초코렛 토핑을 얹는 것처럼
, 학습을 거부하는 아이를 배려하는 것
. 그게 바다나무의 교재들이다
. 특별히 애니메이션
,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아이들에게 교재가 더욱 흥미롭게 보이게 하는 것이다
.Kizmom.바다나무가 집중하는 것은 무엇인가아이의 본질적인 내면에 집중한다
. 얼만큼 성장하는지 보다 어떻게 성장하느냐가 중요하다
. 사람의 뇌는 유연하고 엄청난 습득력을 가지고 있는데
, 어린 아이일수록 더욱 그러하다
. 아이의 발달과 성장을 저해하는 것은 보통 아이가 겪고 있는 압박감
, 긴장감 때문에 충분한 학습의 결과가 도출되지 않는 경우일 때가 많다
. 우리는 아이가 정서적으로 충분히 안정되었을 때
, 놀라운 학습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고 본다
.Kizmom.바다나무의 비전은사교육 시장의 연령대가 자꾸만 낮아지고 있다
. 낮아지는 사교육 시장의 문턱만큼
, 높아지는 가격대로 인해 가계가 휘청거린다
. 그 동안의 한국의 영어교육 시장은 대기업 브랜드 위주로 방문학습지
, 고가의 전집 판매 등의 고비용 산업으로 형성이 되어 왔다
. 하지만
바다나무는 높아지는 사교육 비용으로 인한 부모들의 부담을 낮추고
, 더욱 효율적인 방식으로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교육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미션으로 생각하고 있다
. 가장 효과적인 영어 교육 시스템을 찾는 한국의 부모님들과
, 정서적 교감을 바탕으로 영어의 자신감을 찾도록 어린이들을 돕고자 한다
.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
입력 2017-12-19 14:00:13
수정 2017-12-19 17: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