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단‧단수 등 위기예측 빅데이터 정보를 통해 실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도움을 받지 못했던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 7만 7천여명을 찾아내 지원했다고 밝혔다.
복지부는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집세와 공과금을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송파 세모녀 사건’을 계기로 2015년 12월부터 단전, 단수, 기초수급 탈락·중지, 의료비 과다지출 등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해 지원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 대상자를 예측, 발굴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의 가동으로 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으로 예측된 대상자가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통보되면 읍면동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통해 가구마다 일일이 확인한 뒤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복지 사각지대 발굴관리시스템’을 이용한 결과, 지난해 2016년 대비 1만 1천여 명이 증가(18%)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로 예측한 대상자 중에서 실제 서비스를 지원받은 비율도 개선도 2016년 20.1%에서 2017년 25.6%로 향상됐다.
구체적인 지원 내용을 보면, 기초생활보장급여 지원 6천712명, 차상위 지원 8천537명, 긴급복지 지원 1천109명,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장애인 연금, 사회서비스 이용권, 요금감면, 고용(일자리), 돌봄서비스, 보육 등)3만1천412명 등 모두 4만7천770명이 공공 복지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이외에 공공 복지서비스 자격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2만8천868명은 민간기관이 제공하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푸드뱅크, 대한적십자사 희망풍차, 민간기관 결연후원금 연계 등의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계했다.
올해도 발굴관리시스템을 통해 총 6차례(2개월 간격 정기적), 약 35만 명 이상의 복지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를 찾고, 읍면동 통합 사례관리 상담·조사를 통해 공공·민간 제반 복지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청년실업, 고령화 등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로 발생하는 위기・취약 가구를 빠르게 찾아내 복지, 건강관리, 고용 등 서비스를 연계·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고 말하며, 빅데이터 예측 모형을 계속 정교화하여 현장 복지업무 담당자 업무를 지원하고, 읍면동 주민센터, 고용복지+센터, 사회복지관 등 민간 복지기관과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진:한경DB
오유정 키즈맘 기자 imou@kizmom.com